아하
검색 이미지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2.08.08

단백뇨가 나오면 신장이 제기능을 못하는건가요?

작년에 건강검진시 단백뇨에 체크가 되어 있어서

좀 당황스러웠습니다. 검사는 따로 하지 않았고

별다른 증상이 없어서 식이랑 운동만 하고 있습니다.

단백뇨는 신장이 어떤 상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우리의 소변은 신장의 사구체라고 하는 구조에서 걸러집니다.

    혈중의 필요한 성분은 전혀 빠져나가지 않고 사구체 그물에 걸려서 혈중에 남아야하고 필요없는 성분만 소변으로 빠져나가는게 정상입니다.

    사구체가 건강한 경우에 소변에는 단백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아야 합니다.

    젊은 사람들에서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나올수는 있지만 만약 지속적으로 단백뇨가 검출된다면 이 신장 속 사구체에 문제가 있는지 꼭 확인을 해야합니다.

    단백질이 빠져나가는걸 방치하면 이 사구체그물이 더 찢어지면서 병을 키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단백뇨가 나온다고 신장의 기능이 비정상이라고 보지는 않습니다. 문제는 단백뇨가 나오는 원인 질환을 찾아보고 단백뇨가 더 나오지 않도록 조절을 해야 궁극적으로는 신장의 기능이 나빠지는 것을 막을 수는 있습니다. 즉, 당뇨나 고혈압으로 인해서 단백뇨가 나오는 경우라면 혈압, 혈당 조절을 하는 것이 단백뇨를 줄이고, 궁극적인 신장 기능 손상을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지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정상적이라면 단백질이 신장을 통과하지 못합니다.

    신장에 질환이 있으면 단백뇨가 있을수 있습니다.


  • 단백뇨가 나온다고 하여서 신장이 제 기능을 못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백뇨는 소변에 단백질이 검출되는 것으로 신장의 질병이 있을 경우에 주로 나타나는 소견입니다. 신장의 질병이 있더라도 초기 및 관리가 잘 되는 상황에서는 신장 기능은 정상적으로 잘 이뤄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단백뇨는 소변에서 단백이 검출되는 것으로 정상적으로는 신장사구체에서 단백질과 같은 물질은 소변으로 검출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단백질이 검출된다는 의미는 사구체 손상을 의미할 수 있어 원인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일시적 단백뇨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단백뇨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원인 감별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러므로 내원하시어 소변검사를 받아보시고 단백뇨가 지속된다면 단백뇨를 정량해 볼수도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단백뇨는 신장질환을 의심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진단은 추가검사를 해보아야 결정이 됩니다.

    단백뇨는 방치해서는 안되는 증상이므로 병원을 방문할것을 권장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원래 단백질은 콩팥에서 걸러서 소변에서는 검출되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드물게 신장기능에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단백뇨가 확인되는 경우가 있으며 (기립성 단백뇨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여성의 경우 비뇨기계의 구조 상 단백뇨 소견이 나오기도 합니다. 단백뇨가 나오셨다면 신장내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단백뇨가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부분 신장의 사구체나 세뇨관등에 이상이 있을 경우 인데

    사구체의 이상은 신장염, 당뇨, 자가면역질환, 간염, 악성종양, 여러 약제의 부작용에서 신장염을 동반하는 경우입니다.

    세뇨관의 이상은 급성신우신염이나 급성신부전에서 근위세뇨관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유발됩니다

    일단 단백뇨가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소변후 양변기 물을 내려도 많은 거품이 쉽게 없어지지 않고 남아있습니다.

    1일 소변중 배출된 단백질이 30mg 이하면 정상,30 – 300mg 이면 미세 단백뇨, 500mg 이상이면 단백뇨 입니다.

    치료법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손상된 사구체 조직을 회복할수 있는 음식을 섭취합니다.

    현미채식을 하면 사구체 조직을 회복 시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성분을 섭취할수 있고, 염증의 원인을 억제하는 항산화성분을 섭취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단백뇨란 소변 내에 과도한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단백질을 재흡수하지 못하고 소변으로 단백질이 나옵니다. 단백뇨는 당뇨, 고혈압과 같은 만성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단백뇨 수치의 증가는 신장 손상 정도를 의미합니다. 단, 일시적으로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으로도 단백뇨가 나타날수 있으니 거품뇨와 같은 증상이 지속된다면 단백뇨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단백뇨는 신장에서 단백질이 나오는 상태입니다. 비정상입니다.

    내과에 내원하셔서, 재검사 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