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주택 종부세가 세액이 급감하고 대상자도 1/3토막으로 떨어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올해 주택 종부세의 세액이 매우 급감했다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특히 대상자도 1/3토막으로 떨어졌다고 하던데요. 이런 배경은 단순히 집값이 떨어져서 그런것인지 아니면 다른이유도 복합적으로 있는것인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
종부세 결정에는 공정시장가액비율이라는 요소가 들어갑니다.
올해에 작년과 동일한 60%로 설정했고,
1인당 공제를 9억 (1주택자 12억)으로 상향하고
주택 가격이 하락하면서
대상자 및 금액이 감소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주혁 세무사입니다.
1. 주택에 대한 종부세율이 전체적으로 낮아졌습니다.
2. 종부세 계산시 공제액이 전체적으로 증가했습니다.
3. 공정시장가액 비율이 60%로 낮아졌습니다.
4. 집값 하락으로 공시지가 또한 낮아졌습니다.
1~4 모두 종부세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이러한 요인들이 모두 낮아져서 종부세 세수가 급감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
주택 종합부동산세의 과세는 해당 주택의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산출하는데 이 금액이 22년대비 23년에 하락 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전년도인 2022년도에 비해 2023년도 주택이나 토지의 공시가격이 하락하여 종부세 부담도 감소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