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CT나 MRI로 검사하면 사진이 어떻게 나오나요?
지인이 병원에가서 검사했는데 머리가 안좋다고 해요 혈관이 막혀서 시술인지 수술인지 받아야 한다는데
혈관이 막히면 막힌부분이 하얀가요 아니면 검게 나온건가요 듣기로는 뚫어야한다는데 뮐로뚫는가요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CT와 MRI는 뇌를 비롯한 신체의 내부를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중요한 검사 도구입니다. 이 검사들을 통해 뇌의 구조와 상황을 파악하게 되는데, 각각의 방식에 따라 이미지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뇌 CT는 주로 뇌출혈이나 뼈의 이상을 빠르게 파악하기에 유용하며, 흑백의 명확한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보통 혈관이 막히거나 출혈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부위가 밝게, 즉 하얗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MRI는 더 세밀한 뇌 조직의 변화를 보여주며, 물질의 성분이나 혈류의 흐름을 자세하게 관찰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경우 혈관의 흐름이 막힌 부분은 대개 검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그 주변에 뇌 조직의 손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혈관이 막혔을 때, 의료진은 혈관 내의 막힌 부분을 다시 열어주는 시술이나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혈관 내에서 막힌 부분을 제거하거나 혈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다양한 의료 기구를 사용하는데, 그 중 하나는 주사기로 약물을 주입하거나 스텐트라는 작은 관 모양의 구조물을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혈류를 다시 정상화하여 뇌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뇌 CT나 MRI 검사에서 혈관이 막힌 부분은 촬영 방식과 시간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급성기에는 혈전이 하얗게 보이는 경우가 많고, 시간이 지나면 검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경향일 뿐이며, 환자의 상태와 촬영 기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혈관을 뚫는 방법은 막힌 혈관의 종류와 위치,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혈전 용해제를 투여하거나, 혈관 내 시술을 통해 혈전을 제거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어떤 방법이 적절한지는 담당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한 후 결정하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MRI의 경우 검사법에 따라 다른데요.
일반적으로 혈전이 있다면 검게 나타나게 되고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생 시간부터 병원까지 방문 시간에 따라 혈전용해제 사용 여부가 결정되겠습니다.
그 외 뇌졸중의 원인에 따라 약물치료나 뇌동맥 협착 제거를 위해 스탠트 삽입,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