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확률통계에서 표준편차와 시그마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어떤 데이터가 있을때 그값이 하나의 값이 아니라 오차 범위 안에서 값들이 산개되어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취급할 때 표준편차와 시그마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확률통계학에서 '표준편차'와 '시그마(σ)'는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시그마(σ)는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기호로 사용됩니다. 표준편차는 데이터 세트의 평균값으로부터 데이터가 얼마나 퍼져있는지를 측정하는 값으로, 데이터 포인트들이 평균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산포도(Dispersion) 지표입니다.

    표준편차의 계산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1. 각 데이터 포인터와 데이터 세트의 평균값과의 차이를 계산합니다.

    2. 이 차이의 제곱을 모두 더합니다.
    3. 그 합을 데이터의 개수로 나누어 평균을 구합니다.
    * 데이터의 개수에서 1을 뺀 값으로 나누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불편 표준편차'라고 합니다.
    4. 마지막으로, 이 평균의 제곱근을 취하여 표준편차(σ)를 얻습니다.

    통계학에서 이 표준편차(σ)는 데이터의 분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정규분포에서는 약 68%의 데이터가 평균값을 중심으로 첫 번째 표준편차 범위(µ ± σ) 안에 위치하며, 약 95%는 두 번째 표준편차 범위(µ ± 2σ), 약 99.7%는 세 번째 표준편차 범위(µ ± 3σ) 안에 위치합니다. 이를 '68-95-99.7 규칙' 또는 '경험적 규칙'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관계는 데이터의 변동성과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며, 품질 관리, 재고 관리, 위험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됩니다.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를 때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데이터 집합 내에서 특정 값이 나타날 확률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의 일반적인 행동과 특이 사항을 파악하는데 중요합니다.
    표준편차와 시그마의 관계에 대한 설명은 확률통계학의 기본 원칙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통계 교과서와 학술 자료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는 주제입니다. 인용할 수 있는 예를 들면,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Engineering and the Sciences (Jay L. Devore)에서는 표준 편차의 계산과 그 통계적 의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이 책은 공학 및 과학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표준 편차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