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아미시스터즈
아미시스터즈

자꾸 하지마, 보지마 하는 28개월 아기

28개월 여자아기입니다. 말이 트였지만 아직까진 표현이 엄청 다양하진않은거같아요.

아이가 이런 말을 시작한지는 한 2-3달 된거같아요.

제가 누군가와 얘기하면 “엄마 (누구)랑 얘기하지마” 하구요

제가 계속해서 엄마가 얘기할 땐 ㅇㅇ이는 기다리는거야

하면 알겠다고해요

그런데 또 얘기하지말라해요ㅠㅠ

어린이집 상담도 받아봤는데 원장님도 담임샘도 아이가 이 개월수엔 그럴 수 있다하시더라구요

아이가 집중/관심받고싶어해서 그런거같다고 엄마가 얘기하는동안 ㅇㅇ이 기다리고 다 끝나면 같이 얘기하자 이런식으로 얘기해주라하셨어요

그래도 안고쳐져서 아이에게 엄마가 얘기할 때 ㅇㅇ이는 어떻게해야해? 하면 기다려야돼! 라고 대답도하는데...ㅠㅠ....

그리고 또 엄마, 할머니, 혹은 다른 사람들이 ㅇㅇ이 뭐해? 물어보면 “뭐해 물어보지마!!” 라고 하구요

제가 아이 쳐다보고있음 “ㅇㅇ이 뭐하나 쳐다보지마!!” 라고 해요;;;

놀이터에서도 다른 친구들이 아이가 하던거 놀면 가서 “친구 가! 친구 하지마!” 이러구요

길가다 모르는 사람이 아이에게 말걸면 “말하지마!” 라고해서 창피합니다ㅜㅜ....

아이에게 “하지마, 보지마 등” 같은 표현이 잘못되거나 안된다고 알려주고싶지않아요

이건 자기표현을 하는거니까요

근데 왜 자꾸 이러지..싶어서 이걸 어떻게해줘야하나 모르겠어요

“보지마!” 하면 엄마가 ㅇㅇ이 보고싶어서 보는거야 라고 얘기해주고요 (그럼 계속 보지마아아!!! 해요)

“물어보지마” 하면 엄마가 ㅇㅇ이 뭐하나 궁금해서 물어보고싶은거야 라고도하고

성질나면 엄마가 하고싶은대로 하는거야! ㅇㅇ이가 뭐라고 하지말라고 하지마! 라고해요

냠냠이 출동! 해서 아이가 이렇게 말할 때 마다 입을 콕 잡기도하구요ㅠㅠ (제 손으로)

조언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8개월 아이의 이런 행동은 자기 존재감과 통제감을 키우는 과정입니다. 아직 언어가 완전히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감정과 욕구를 강한 표현으로 표출하는 거죠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28개월 이라면

    자아가 성립되기 시작하고 자기 주장도 강해지는 시기 입니다.

    이 시기에는 아이에게 되는 것과 안되는 것, 허용되는것과 허용되지 않는것, 해도 되는 것과 하면 안되는 것들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면서 잘못된 행동을 반복하지 않도록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현재 아이의 심리는 부모님에게 관심을 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아이 이기 때문에

    아이에게 엄마,.아빠는 너를 사랑하고 관심을 주고 애정을 주면서 너를 돌보고 있어 라는 것을 행동과 언어로 자주 표현해 주세요.

    아이가 직접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말이지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언어표현의서툴음때문입니다

    실제로싫다기보단다른걸표현못해서 그래요

    이걸막기보단 우선발달을기다리는게맞고

    시간지나면자연히좋아집니다

    아이에게 무언가를가르치는시기는아직어렵고 아이가이해도못합니다.

    그땐그냥대처말을여러개알려주면아이가그중에상황에맞는걸배우고쓸겁니다

    1. 아직 아이가 상황에 따라서 구분하는 게 어렵기 때문에, 그러한 말 전부를 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으나 현재는 너무 남용을 하고 있어서 하지 않도록 해 주시는 게 좋을 듯 해요. 이 말을 물론 완전히 하지 말라고 오해할 수 있지만, 아직 아이가 예외를 이해하기에는 너무 어려요. 하지만, 지금 그 말을 하지 말라고 하지 않으면 계속 습관이 되어 입에 붙을 거고 부정적인 가치관이 형성될 가능성도 높아 보아요. 그래서 일단은 그러한 말 자체는 하지 않는 쪽으로 이야기를 해보시고, 어린이집에서도 그러한 방향으로 지도하는 건 어떤지 고민을 나누어 보시기 바랍니다.

    2. 아직 아이가 어리기는 하지만, 그러한 말투에 대해서는 안되는 거라고 말을 해주시면서, 다른 긍정적인 언어로 유도하는 과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건 일관성인 만큼, 아이에게 일관적인 지도가 행해질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8개월 아기의 행동은 자기주장을 표현하는 단계일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감정을 이해해주고, 대신 긍정적인 표현을 가르쳐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