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헤지를 하지 아니 함 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헷지를 하면 어떨 때 유리한가요
헷지를 하지 아니하면 어떨 때 유리한가요
너무 헷가리는 용어 고수님의 설명 부탁드립니다
헷지와 환율을 연관지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헷지라는게 간단하게 가격변동성의 위험을 없애는걸 말하는거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환헷지를 했다면 원달라 환율의 상승 하락에 대한 변동성에 대한 수익이 나거나 손실을 보는게 없습니다
내가 달러는 1400원에 샀는데 1450원이 되면 50원 이득이고 1350원이 되면 50원 손해죠
환헷지를 하면 이런 원달러 가격변동성 영향이 없습니다
그런데 환헷지를 하지 아니함 은 말 그대로 환헷지를 안한거니 위에 처럼 원달러 환율 가격 변동성에 노출이되어서 손익이 발생하는걸 말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햇지를 하게 되면 어떨 때 유리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햇지는 내가 투자한 상품이 하락할 때에
그 반대편 포지션에도 투자해서 하락의 손실을 메꾸는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헷지를 하면 환율의 가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아서 환율이 하락 하더라도 환손해를 보지 않아도 됩니다.
반면 환헷지를 하지 않으면 환율 가치 변동의 영향을 받아서 환율이 상승했을때 환차익을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의 상장된 ETF상품은 원화로 매수하는것입니다 그런데 국내의 상장된 ETF가 해외금이나 또는 해외지수나 해외주식 해외채권등에 투자하는 상품이 있습니다 이말은 해당 ETF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가 자본이 유치되면 해당 기초자산을 산다는 말이며 해외상품이므로 달러로 환전하여 매수를 하게 됩니다.
이경우 기초자산이 달러자산이므로 환리스크의 변동이 발생합니다 이런 환리스크의 변동을 제거하여 파생상품을 매입하는게 환헤지상품이라고 ETF의 (H)라고 붙습니다.
이런 환헤지는 선물이나 옵션이나 통화스왑을 사용하며 가장 대표적인 통환선물이 선물환매도를하여 환헤지를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즉 이에 환변동리스크를 제거하여 환율에 상관없이 기초자산의 수익률에만 최대한 연동하도록 구조화한 상품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