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런던형 스모그'는 왜 겨울에 자주 발생 하나요?

안녕하세요

'런던형 스모그'는 겨울에 자주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하는데요

왜 하필 겨울에 자주 발생 하는 건가요?

대기가 추워야 잘 발생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기한친칠라145
      신기한친칠라145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1952년 12월 4일 영국 런던의 기온이 급강하하였고, 하늘은 구름으로 가려져 짙은 안개가 지면을 덮고 있었다. 구름과 안개로 태양빛이 차단되어 낮에도 앞을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어두웠으며 습도는 80%가 넘었다.


      당시 영국은 가정이나 산업체에서 모두 자국에서 많이 생산되는 석탄을 주로 연료로 사용하였다. 석탄 연소에 따른 연기가 정제되지 않은 채 대기중으로 배출되었고 때마침 나타난 무풍현상과 기온역전으로 인해 대기로 확산되지 못하고 지면에 정체하게 되었다. 배출된 연기와 짙은 안개가 합쳐져 스모그를 형성하였고, 특히 연기 속에 있던 아황산가스가 황산안개로 변하였다. 이것은 런던 시민의 호흡기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었다.


      스모그 현상은 12월 10일까지 계속되어 런던 시민은 호흡 장애와 질식 등으로 사건 발생 후 첫 3주 동안에 4,000여 명이 죽었고, 그 뒤 만성 폐질환으로 8,000여 명의 사망자가 늘어나 총 1만 2000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를 계기로 영국은 1953년 비버위원회를 설립하여 대기오염 실태와 대책을 조사하고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 위원회가 제출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1956년에 대기오염 청정법을 제정하였다. 또한 이 사건은 세계 모든 나라의 경각심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런던형 스모그는 겨울에 자주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그 이유는 겨울에는 기온이 낮아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면 오염물질이 공기 중에 머무르기 쉽고, 이로 인해 스모그가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런던형 스모그는 공장의 매연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난방, 석탄등의 연소에 의해서 대기에 유입되는 매연, 아황산가스 등이 안개와 만나 합쳐지면서 발생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추운날씨에 가정집이나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난방과 석탄등으로 인해 겨울에 많이 발생되는 것입니다.

    • '런던형 스모그'는 주로 겨울에 자주 발생하는 대기 오염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이 겨울에 자주 발생하는 이유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있습니다:

      1. 난방과 연료소모: 겨울에는 기온이 낮아지기 때문에 난방이 많이 필요합니다. 난방을 위해 화석 연료 (석유, 석탄 등)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료소모로 인해 대기 중에 유해한 미세먼지와 유기화합물 등이 배출됩니다.

      2. 온도역전: 겨울에는 대기 중에 온도역전(온도가 낮은 층이 높은 층보다 따뜻한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온도역전으로 인해 낮은 공기가 높은 공기 위로 떠오르기 어려워 대기 중에 오염 물질들이 쌓이게 됩니다.

      3. 습도: 겨울에는 대기의 상대 습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오염 물질들이 습기로 물과 결합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염 물질들이 대기 중에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며, 스모그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4. 공기 이동: 겨울에는 바람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대기 중의 오염 물질들이 움직이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조건에서 오염 물질들이 한 곳에 모이고 쌓이기 쉬우며, 이로 인해 스모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겹쳐서 겨울에 런던과 같은 도시에서 대기 오염이 심해지고 스모그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스모그는 대기 오염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유발하고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기 환경 관리에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