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간이과세자는 왜 공급대가를 사용하나요?
간이과세자의 경우에는 왜 공급가액이 아닌 공급대가를 사용하여 매출세액을 계산하는 건가요? 어떤 이유에서 그렇게 계산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광교세무법인 삼성지점 이용연 세무사 입니다. -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는 매출, 매입시에 공급한 가액 및 공급받은 가액에 대하여 10%의 - 부가가치세율을 적용하지 않고 매출의 경우 공급대가 x 부가가기율 x 10%로 산출하게 - 되는 데, 이는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가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와 달리 매출 매입에 관한 - 거래 내용에 대하여 100% 세금계산서를 발행 또는 수취를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주로 영세사업자인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 신고 편의를 위하여 - 공급대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는 연간 공급대가가 4,800만원 - 미만인 경우 부가가치세 납부의무 면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정남 세무사입니다. - 간이과세자는 납세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업종별 부가율을 곱해주기 때문에 공급대가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세흥 세무사입니다. - 우선 간이과세자는 소규모사업자를 위한 제도로써 그 부담을 덜어주려는 목적으로 일반과세자와 과세체계가 다릅니다. - 세법에서 간이과세자는 공급대가로 계산을하게 되어있으며 일반과세자와같이 10%로 고정되어있지않으므로 공급가액의 개념이 없습니다. 수입금액(공급대가)의 일정 업종별 부가율만큼만 내는 구조이므로, 공급대가를 기준으로 계산을하게됩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