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견실한시라소니109
견실한시라소니10923.07.22

명왕성이 우리 태양계에서 빠지게 된 이유는?

안녕하세요

어렸을 떄 수금지화목토천해명

이렇게 태양계를 외웠던 것이 기억이 나는데요

최근에는 명왕성이 빠졌다고 하던데 왜 빠졌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국제천문연맹은 태양계 행성의 자격을 “태양의 주위를 돌아야 하고, 충분한 질량을 가져 자체 중력으로 타원이 아닌

    구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천체이어야 한다.”라고 규정하는데요

    태양의 행성의 조건 중에 명확한 원형의 공정 궤도를 가져야 하는데 행성으로서의 공전 궤도가 원형이 아니고

    타원형으로 돌고 있으며 일부 구간에서는 해왕성의 궤도를 침범하는 경우도 있어서 이는..예전에 해왕성의 위성

    이었던것이 우주의 어떤 작용에 의해 떨어져 나간것이 아닌가하는 논리로서 2005년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발견 이후 계속 논란이 되어왔습니다


    명왕성은 다른 행성에 비해서도 지나치게 타원궤도를 돕니다.


    다른 행성이 암석이나 가스층으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대부분이 얼음으로 이뤄져있어 행성 자격이 없다는 것입니다.


    또 명왕성은 해왕성보다 작으면서 위성인 카론과 크기가 비슷한 데다 주위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판정을 받아 빠졌습니다. 또 카론, 케레스, 제나 등 새로 발견된 천체들도 행성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명왕성과 함께 외행성으로 정리 됐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2006년에 국제천문학연맹에 의해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는 왜행성으로 재분류되었습니다. 이 결정은 IAU에서 새로운 행성 정의를 수립하고, 이에 따라 명왕성의 지위가 변경되었기 때문입니다.

    기존에는 명왕성을 아홉 번째 행성으로 인정하였지만, IAU는 새로운 정의에 따라 행성의 조건을 명확히 하여 명왕성을 포함한 다른 천체들을 다른 분류로 지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명왕성은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으며, 왜행성은 행성이지만 주위를 정리하지 못한 천체로 정의되었습니다.

    이 결정은 과학계에서 논란이 되었고, 명왕성이 행성인지 아닌지에 대한 의견은 여전히 분분합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IAU의 정의에 따라 명왕성은 왜행성으로 분류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를 외울 때 사용하던 니모닉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은 각 행성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각 글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나타내며, 이 순서대로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는 순서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니모닉은 명왕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명왕성은 예전에는 태양계의 아홉 번째 행성으로 간주되었습니다. 하지만 2006년에 국제 천문학 협회에서 태양계의 행성 정의를 다시 검토한 결과, 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으로 분류하지 않기로 결정되었습니다. 이유는 명왕성이 다른 주요 행성들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인데요. 명왕성은 작고 빙하로 덮인 행성이며, 행성의 주요 특성 중 하나인 "청소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행성이 아닌 "왜행성"으로 재분류되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태양계에는 명왕성을 포함한 여덟 개의 행성이 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으로 인정받는 조건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명왕성이 그간 행성으로 인정받았던 것은

    공전주기가 매우 길어도 명왕성의 공전 궤도에 돌고있는

    행성이 명왕성 뿐이기때문에 행성으로 인정받을수 있었는데 사실은 명왕성의 공전궤도에 다른 행성들이 같이 태양을 기준으로 공전을 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명왕성의 행성직위는 박탈되었습미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계기는 에리스라는 소행성을 발견하고나서부터입니다. 발견 당시 에리스는 태양 주위를 멀리서 돌고있었고 명왕성과 크기가 유사하였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은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넣어야 하는지 의논을 시작하였죠.

    그러면서 명왕성을 다시 잘 관측해보니 태양주위를 돌지만 공전궤도가 찌그러져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침범할 때도 있었으며, 명왕성이 행성으로써의 크기와 질량을 갖지 못하여 행성보다 위성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행성이 되기위해선 위성을 둘만한 중력이 필요하다고 정의한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명왕성이 행성 자격을 박탈당하게된 것이죠.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2006년 8월 24일 세계천문학회에서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되고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이유는 명왕성이 작고 왜소하며 위성 성립이 가능한 중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 명왕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이며, 자신의 무게 중심 주변에 주변 천체들을 모으고 있습니다. 그러나 명왕성의 주변에는 이와 유사한 크기의 천체들이 있어, 주변 천체들과의 진핵 크기가 더 작은 다른 행성과 다르게 주변 천체들을 지우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명왕성은 행성이 아닌 왜행성으로 간주되며, 현재는 왜행성 집단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1930년 발견된 태양계의 행성입니다. 하지만,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명왕성을 행성에서 제외했습니다. IAU는 명왕성이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고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구형을 이루고 있다는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지 못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명왕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지만, 다른 행성들과 달리 궤도가 매우 찌그러져 있습니다. 또한 명왕성의 질량은 지구의 1/8에 불과합니다. 그래서 IAU는 명왕성을 행성에서 제외하고 왜소행성으로 분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