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검붉은귀뚜라미118
검붉은귀뚜라미118

한 번 오른 물가는 다시 내릴 수 없는건가요?

요즘 물가가 너무 많이 올라서 밖에서 밥 한끼 사먹으려면 기본 만원 이상은 드는 거 같습니다. 얼마 전까지 국밥의 경우는 6~7000원 정도였는데 이제는 9000원 이상 하는 국밥집들이 대부분 인거 같네요. 이렇게 한 번 오른 물가는 다시 내릴 수 없는건가요? 가격을 올리면 올렸지 가격을 내리는 식당들은 보지 못한 거 같습니다. 물가가 너무 급격하게 오를 경우 금리를 올려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금리를 올린다고 하더라도 물가 상승을 막을 수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률과 물가 상승은 다른 얘기지요 금리를 올린다고 해서 물가 상승률이 꺾일 수는 있으나 다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독과점 시스템에 빈부격차가 함께 가고 있기 때문에 금리를 올려서 돈을 더 많이 많이 버는 사람이 있고요 치킨을 3만 원에 팔아도 지금 사 먹을 사람은 여전히 사 먹습니다 그러니까 떨어질 수가 없는 것이겠지요 그런데 나라에서 돈을 푼다 전기세가 올라간다 소주 원가가 10원이 오른다 그러면 그런 것을 기회 삼아서 독과점 하는 사람들은 또 올립니다 1,000원씩 2,000원씩 이거 금리 조정으로 미비하다는 얘기지요 그러나 저같이 영세 업자는 지금 원가에 물건을 내놔도 안 팔립니다 물가는 저 같은 소상공인들이 내릴 수가 있다고 볼 수 있지요 계속 독과점화되고 거대하게 되면은 그들이 가격을 다 조정을 할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요식업체가 가격을 한번 올리면 내리는 경우는 극히 드물긴 할거 같습니다

    가뜩이나 힘든 상황에서 가격올리면 있는 손님도 안 올거라는걸 다들 아는데 그래도 올리는거는 그만큼 더 힘들어졌다는 걸 뜻하겠죠 금리를 올린다고 바로 물가 하락이 나타나는것도 아니고 금리 인상은 적어도 반년이상 시간차이를 두고 물가하락에 영향을 주지만 기준금리를 인하한다고 해서 생활물가가 하락하는건 또 아닌거 같습니다

    그럼 올해 마무리 잘 하시구요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한 번 올라간 물가는 내려오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 그렇기 때문에 지금 상승한 물가가 매우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 물론 1차적인 공급품의 물가는 공급 단가에 따라서 조정 될 수 있으나 그외에 공산품이나

      서비스 가격은 한 번 상승하면 뒤로 가진 않습니다

    • 대표적으로 임금이 한 번 올랐는데 물가가 하락하는 추세라고 깎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 이미 올라간 물가는 돌리기 어렵고 이 뜻은 한 번 하락한 화폐의 가치는 다시 올리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번 올라간 물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저 역시 대략 46년을 살아오면서 느낀 점은

    한번 오른 물가는 결코 다시 내려가지 않는다였습니다.

  •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는 경향은 있지만 물가 상승률이 올라간다 내려간다라고 하지 물가 자체가 낮아지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왜냐하면 경제가 성장하면 물가가 오르는게 정상이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사실 수요와 공급의 변화나 경제 정책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변동하기도 합니다. 물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해도 시간이 지나면서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되찾고 경제 상황이 개선되면 하락하기도 하죠.

    다만 통상적으로 한번 오른 물가는 쉽게 내려가지는 않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물가 상승압력이 계속되고 이에 따른 인건비 등 재반비용도 함께 상승하죠. 이미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물가는 하락이 어렵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한번 오른 물가는 쉽게 내리기 힘듭니다. 판매업자들이 이러한 부분을 알면서도 신경을 쓰지않고 모른체 넘어가는 수가 많으며, 소비자들의 말이 많은 경우 량을 줄여서라도 판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한 번 오른 물가가 다시 내려가기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물가 상승은 단순히 원자재나 재료비 상승뿐만 아니라 임금 인상, 유통 비용 증가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비용이 한 번 구조적으로 자리 잡으면 다시 낮추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둘째, 심리적인 요인도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한 번 오른 가격에 익숙해지기 쉽고, 기업 입장에서도 가격을 내리면 이윤이 줄어들기 때문에 쉽게 인하하지 않습니다. 셋째, 정부의 금리 인상은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으나, 이미 오른 물가를 직접적으로 낮추지는 못합니다. 금리는 수요를 억제해 물가 상승 속도를 늦출 수 있지만, 기존의 가격 구조를 바꾸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 효율적인 유통 구조 개선, 그리고 정부의 경제 정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