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07.28

생명체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천체 중에서도 이미 죽은 별이 된 천체가 있나요?

우주에 있는 다른 행성을 보는 것은 지금상태가 아니라 과거에서 보낸 빛을 토대로 확인하잖아요.

그렇다면 우리가 발견한 생명체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천체 중에서도 이미 죽은 별이 된 천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성 남은 별은 중간 질량의 별들이 수명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들은 별 내부의 연소 과정이 완료되고, 외부 층이 제거된 후에 남은 매우 밀도가 높은 핵입니다. 소성 남은 별은 더 이상 에너지를 생성하지 않으며, 그저 자신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면서 식혀지게 됩니다.

    중성자 별은 더 큰 질량을 가진 별들의 수명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들은 별 내부의 중력이 전자를 중성자로 압축하고, 매우 밀도가 높은 중성자 질량체로 변합니다. 중성자 별은 매우 강한 중력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장과 극한의 조건에서 존재합니다.

    흑색 구멍은 매우 큰 질량을 가진 별들이 끝에 이르렀을 때 형성됩니다. 중력이 별의 핵을 압축하여 매우 작고, 질량이 막대한 천체인 흑색 구멍이 형성됩니다. 흑색 구멍은 중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주변의 빛과 물질을 흡수하여 흑색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