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자및 해외자본가가 바라본
대한민국의 지정학적 리스크중에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첫손에 꼽힐듯 한대 투자자가 가져야할 마음가짐이 어떤게 있을까요 투자하면서 최악의 리스크에 대비해서 항상 어느정도의 자산을 빼두어야 하는건 알지만 해외자본및 투자자가 시선을 어느정도는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해외투자가가 바라보게 되는 시선을 정확하게 말씀드리기는 힘들겠지만 우리나라에 발생 가능한 외부리스크와 내부리스크에 대한 이해도를 보시면 어느정도 시선이 맞닿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제가 정리한 우리나라의 현재 내부적리스크와 외부적리스크에 대한 내용인데요. 큰 줄기만 적고 세세한 것들은 제외하였습니다.
내부적 리스크 (금리와 관련된 리스크)
개인부채 1,900조원과 변동금리 비율이 80%이상
태양광대출 17조 6천억원 중 변동금리 비율 90%
부동산 침체로 인한 PF대출의 부실화 가능성
PF대출의 부실화로 인한 저축은행, 캐피탈, 증권사의 부도 가능성
인플레이션 상승
외부적 리스크
미국의 빠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환율상승
OPEC+의 원유감산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승)
유럽의 경기침체 및 중국 경제상황 악화
미국의 IRA법, 반도체법 도입으로 인한 한국의 수출실적 악화 예상
북한의 도발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환율변동성 증가
위의 내용을 보시게 되면 내년의 경기상황이 더 좋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기정사실화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도 이러한 부실을 예상하게 된다면 투자규모를 축소할 가능성이 높고 투자를 한다면 아무래도 저러한 잠재적 리스크가 해소되어야지만 적극적인 투자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행복한 주말 되세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리스크가 크게 반영되었지만, 이는 국제정세 및 현재상황에따라 다르게 판단되는 듯 합니다.
현재 외인들은 환율에 오히려 더 민감하지, 북한 Risk에 대하여는 크게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러우전쟁이후로는 실제 전쟁에 대한 우려로 약간의 지수 하락이 발생하고 있는 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리안 디스카운트의 위험으로 인해 한국의 많은 기업이 PBR이 0.5, 0.4 이렇게 거래되고 있는 기업이 수없이 많고 아주 심한 경우는 갖고 있는 현금보다도 시가총액이 낮게 거래되는 기업이 많습니다. 이런 현상은 전 세계에서 거의 한국에서만 보이고 있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