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보세창고 임대료 급등이 무역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최근 항만 인근 보세창고 임대료가 전년 대비 급등하면서, 장기 보관을 계획했던 당사 수입화물의 유통 전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재고 회전율이 낮은 품목의 경우 물류비 상승이 고스란히 비용으로 전가되는데 이를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 다른기업들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최근 항만 주변 보세창고 임대료가 크게 오르면서 유통 전략을 재조정하는 기업들이 많아졌습니다. 회전율이 낮은 품목은 장기보관이 부담되기 때문에 일부 기업은 내륙 보세창고로 이전하거나, 공동물류센터를 활용해 단가를 낮추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 일부는 선입선출을 강화하거나, 입항 전 판매처를 확정짓는 사전 유통계약으로 체화기간 자체를 줄이려는 흐름도 보입니다. 결국 비용보다 회전 중심으로 전략을 바꾸는 쪽으로 방향이 옮겨지는 모습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통관비용을 고려하여 미리 통관후 국내에서 보관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말씀하신대로 보세창고료가 상승하게되면 굳이 보세창고에 보세상태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미리 대부분을 통관하시고 이를 판매하시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 혹은 수입후에도 재수출면세 등으로 감면을 받을 수도 있기에 이러한 다른 전략도 고민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보세창고 임대료가 오르면 가장 먼저 재고 유지 전략이 흔들립니다. 장기 보관을 전제로 한 물류 계획이 비용 부담으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재고 회전율이 낮은 품목은 창고료가 곧 추가 원가가 되어 수익성을 갉아먹습니다. 특히 항만 인근은 입지가 좋아 대체 창고 찾기도 쉽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기업은 보세창고 사용 기간을 줄이고 바로 내륙창고로 옮기는 방식을 씁니다. 또 어떤 곳은 아예 해외 현지 보관 비중을 늘려 국내 보관을 최소화하기도 합니다. 대량 물량 계약으로 단가를 낮추는 방법도 여전히 쓰입니다. 임대료 인상분을 제품 가격에 전가하는 건 시장 상황에 따라 불가능할 때가 많아 결국 내부 효율화와 계약 구조 조정이 핵심 대응책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보세창고 임대료 급등은 결국 무역기업의 물류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소가 되고, 특히 지속적인 보관이 필요한 재고회전율이 낮은 품목을 취급하는 기업에는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재고관리 효율화를 강화하고, 창고에 대한 다변화나 공동창고 이용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