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APPLEB
APPLEB

우리나라가 광복후 친일파들을 청산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에서 광복을 한

광복절인데요 그런데 우리나라가 광복후 친일파들을

청산하지 못한 결정적 이유는 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광복 직후 미군정은 행정 편의를 위해 친일파 경찰과 관료들을 그대로 현직에 근무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통일 정부 수립 운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친일파 우익 세력은 단독정부를 지지하며 친일파 처리를 어렵게 했습니다. 예를 들어 좌우합작위원회의 실패의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1948년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 반민족행위특별법에 따라 구성된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는 이승만 정부의 방해와 친일파의 반격으로 실패하였습니다. 특히 친일파 노덕술을 위한 이승만 대통령의 특별 담화와 반민특위사무실 습격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게다가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의 반공 정책 추진에서 친일파는 애국자로 변신하여 오히려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고, 사회의 주요 요직을 차지하면서 권력을 강화혀여 친일 청산을 어렵게 하였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그 이유는 일제는 패망했지만 당시 기득권을 친일세력이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그들이 자연스럽게 지배층으로 편입됨에 따라 친일파 청산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 결과 청산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쉬운 대목이죠.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