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으로 오히려 비트코인이 14% 폭등을 했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저는 개인적으로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이 파산 선언으로 주식은 물론 코인까지 대폭락을 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오히려 비트코인은 폭등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왜 일어났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난주 금요일 미국의 실업률이 3.6%로 예측치인 3.4%에 비해서 매우 높은 값이 나왔으며, 미국 실리콘밸리은행과 시그니쳐은행의 파산으로 인해서 미국 내의 '경기침체'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표가 되고 있습니다. 이는 연준으로 하여금 3월 23일에 돌아오는 FOMC회의에서 금리인상을 기존의 예상처럼 빠른 금리인상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압박용 카드가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서 연준이 0.25%금리인상이나 혹은 금리동결까지도 기대를 하는 상황까지 가고 있습니다.
그동안 연준은 금리인상을 할 시마다 근거로 들었던 것은 '미국 경제는 튼튼하기 때문에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견딜 체력이 있다'라는 표현을 하였는데 경기침체 현상이 심화된다면 이 근거가 사라지게 되는 것이 됩니다. 그렇기에 은행들의 파산이 아이러니 하게도 경기침체의 현상으로 인한 연준의 금리인하로 이어질 수 있어서 오히려 증시나 코인 시장은 상승으로 이어지는 상황을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해당 은행에 대한 파산은 분명 악재이나 당국에서 예금과 예치금 전액을 보호 한다는 발표가 있어서 반등하는 모습입니다.
해당 금융사 파산 보다 이로 인해 미연준의 매파적 금리 인상 기조가 꺾일 것이라는 심리가 더 작용한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위기가 새로운 투자재로의 자산이동적인면이 있는것같습니다.그리고 기술적인 지표상 반등의 지점이었던 모습이 나타나고 강한매수세를 동반한 단기저점이라는 인식으로 상승하였지않나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투자자들의 단톡방에서는 아주 활기찬 모습입니다
금리인상의 여파로 일어난 일들이기에 금리인상을 멈춘다고 하거나 떨어진다고 하면
주식 코인 부동산이 다시 살아나게 되는 반환점이 되기 때문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이제 금리인상은 멈출것이고 한국도 따라갈거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SVB파산으로 기존 금융권에 대한 리스크가 커진상황이고 자산의 안정성 측면에서 기존의 제도권내의 금융상품이 아닌 비트코인으로 투자자가 몰리면서 비트코인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돈을 투자할때 안전성을 가장 먼저 따지는것에 따른 현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