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되알진할미새157
되알진할미새157

아킬레스건염 회복하는데 얼마나 걸릴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20

발목을 삐면서 아킬래스건이 아픈지 한달이 훌쩍 넘은거 같아요. 통증이 심하지 않고 10까지 통증이 있으면 2?3? 정도 되는거 같은데 꽤 걸으면 무조건 통증이 있습니다.

아직 발목삔것도 주사로 치료를 하고 있는데 아킬레스와 발목 삔 부분 사이가 멍든것 처럼 아프다고 말씀드리니까 이부분은 아킬레스랑 관련있다고 하시면서 주사치료를 해주셨어요.

1. 왠만한 집에서의 일상생활에는 주사치료 받은 곳 말고 아킬레스건 자체는 문제가 없는데 이건 아킬레스건염이 맞는걸까요? 급성은 2주면 좋아진다는데 제가 지금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할까요?

2. 아킬레스건 파열도 4개월이면 다시 축구를 하던데 건염은 왜 만성이 될 확률이 큰가요? 건염니더라도 파열된것 처럼 푹 쉬어주고 재활을 하면 나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

    발목은 체중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치료가 더딥니다. 하지만 통증이 80% 좋아지셨다는 것은 좋은 사인입니다.

    저도 취미로 축구를 하면서 아킬레스건 쪽에 통증을 느꼈는데요. 가장 중요한건 꾸준한 치료와 휴식입니다.

    저도 아킬레스건이 조금씩 아픈걸 참으면서 축구했는데요. 결국 계속 통증이 있어서 한동안 아예 쉬었더니, 통증이 없어졌습니다.

    물론 답답하시겠지만, 통증이 없어질때까지 기다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현재는 아킬레스 건염이라고 불릴만큼 강한통증이 발생한건 아니지만, 영향이 있는걸로 추정됩니다.

    처음 느꼈을때 보다 80% 정도의 통증이 줄었다면 그 이후에는 아픈부위를 중심으로 폼롤러 / 스트레칭 / 마시지볼을 통해서 스스로 케어하게끔 하는데요.

    발목을삐면서, 인대가 해야하는 역할을 그 외에 근육들이 하다보니 아킬레스 건염이 발생했을걸로 추정됩니다.

    아킬레스건염은 결국 움직이는 양을 최소화 해야 하지만 그러기 쉽지않기때문에 잘 낫기 힘든 병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통증이 많이 줄어든 만큼 여유를 가지고 지켜보는걸 권장합니다.

    만약 통증이 이전보다 줄지 않는다면 충격파 등 좀 더 적극적인 치료를 권장합니다!

    환자분의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1. 발목을 삐면서 통증이 생겼다고 하셨는데요. 아킬레스 건의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발목을 감싸고있는 전거비인대나 종비인대 등 인대의 부분손상도 체크해보아야 할 부분인 것 같습니다.

    1. 아킬레스 건염은 아킬레스건 자체가 순환이 잘 되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잘 회복이 안됩니다.

    파열 같은 경우에는 아킬레스 파열은 거의 수술을 하게되는 경우가 많고, 수술 후 휴식 및 재활치료를 하기 때문에 회복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단 제 생각으로는 기존에 가시는 병원에서 계속 아킬레스건에 대한 치료만 고집하신다면 다른 정형외과 한 두군데 정도 더 가보셔서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장드려봅니다.

    의사선생님들께서 대체적으로 잘 해주시지만 나랑 안맞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때문에 몇 군데 더 찾아가보셔서 어떤게 문제인지 진료보시고 권해주시는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도수치료가 효과적일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부상의 경우 충분하게 회복이 되기 전에 다시 움직이시면서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아킬레스 건염은 급성 단계에서 2주 정도 지나면 통증이 완화될 수 있지만 만약 통증이 오래 지속되거나 재발하면 만성화될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는 큰 문제는 없을 수 있지만 운동은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세요!

    재발할 수 있어 완전한 회복을 하려면 시간을 두고 점진적인 재활 운동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