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동양음악에서 오음으로 궁상각치우가 무엇인가요?
학교다닐때 음악시간에 ' 궁상각치우'를 외웠던 기억이 나는데요.
무엇인지는 모르고 무조건 시험에 나온다니에 외운것 같아요.
'궁상각치우'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양재영 전문가입니다.
‘궁상각치우’는 전통 한국 음악에서 사용하는 5음 음계(오음 음계)의 음 이름입니다.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음악 체계에서 음의 높이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각의 이름은 다음과 같은 음을 의미합니다:
•궁: 도
•상: 레
•각: 미
•치: 솔
•우: 라
특징
1.5음 음계: 궁상각치우는 한국 전통 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계로, 서양 음악의 7음 음계(도레미파솔라시)와 달리 파와 시를 제외한 5개의 음으로 구성됩니다.
2.음계의 정서: 단순하면서도 서정적이고 차분한 느낌을 주며, 한국 전통 음악의 특유의 멋과 정서를 표현합니다.
3.주요 사용: 판소리, 산조, 정악 등 다양한 전통 음악에서 사용되며, 각 음이 특정 정서나 분위기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것 처럼 학교에서 배우긴 햇지만
궁강각치우라고만 생각이 나는것이 당연할수 있습니다.
서양음악에서 계이름이라고 하는것이
도레미파솔라시도가 있다면 국악에는 궁상각치우 즉
서양음악에서 말하는것은
도레미솔라를 이야기 하는것입니다.그런 5음계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