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대한 광복군 정부는 왜 해체되었나요?

1914년 권업회가 세운 대한 광복군 정부는

시간이 지나 권업회와 함께 해체 되었다고 하는데

대한 광복군 정부와 권업회가 강제로 해체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떤 나라가 해체시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1년 항일독립운동을 하기 위하여 조직된 권업회는 이상설을 초대 의장으로 추대하고, 광복군 사관을 양성하기 위하여 1913년 사관학교 대전학교(大甸學校)를 설립·운영하였다. 또한, 러시아의 극동지역 총독과 교섭하여 광복군이 사용할 군영지를 조차하고, 광복군 병사의 양성을 위하여 양군호(養軍號)와 해도호(海島號)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다. 그 결과 블라디보스토크를 중심으로 시베리아 전역에서 훈련받은 무장 병력 약 3만 명을 확보하게 되었다.

    권업회의 이상설·이동휘(李東輝)·이종호(李鍾浩)·정재관(鄭在寬) 등은 시베리아와 만주 및 미주 지역에 흩어져 있는 무장 독립운동단체를 모아 효과적인 독립전쟁을 전개하기 위한 조직을 갖추기로 하였다. 이들은 러일전쟁 10주년을 맞아 러시아에서 반일 감정이 한창 고조되어 있었고, 또한 한국인의 시베리아 이민 50주년이 되는 때에 맞추어 1914년 대한광복군 정부를 수립하고 대통령에 이상설, 부통령에 이동휘를 선출하였다.

    대한광복군정부 산하에 편성된 광복군의 규모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일본군경에 압수당한 독립운동 관계문서에 따르면, 1914년 당시 이상설 주관하에 있던 3만 명의 시베리아 병력을 제외하고도 만주에서 수만 명, 미국에서 855명의 한인이 훈련받고 있었다고 한다. 광복군 정부는 이들을 중심으로 국외의 모든 독립운동을 주도하면서 본격적인 독립전쟁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1914년 8월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러시아 정부는 일본과 공동방위체제를 갖추고 한국인의 정치·사회활동을 금지하여 그 여파가 모든 한국인 단체에 미치게 되었다. 이어 같은 해 9월 대한광복군정부의 건립 모체가 된 권업회가 해산당하자 대한광복군정부도 크게 타격받고 더 이상 활동을 지속할 수 없어 해체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한광복군정부 [大韓光復軍政府]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4년 8월 제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 러시아 정부는 일본과 공동방위체제를 갖추고 한국인의 정치, 사회활동을 금지하여 그 여파가 모든 한국인 단체에 미치게 되며 이어 같은 해 9월 대한광복군정부의 건립 모체가 된 권업회가 해산당하자 대한광복군정부도 큰 타격을 받고 더이상 활동을 지속할수 없어 해체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광복군은 사람이 아니라, 1940년대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항일 군대예요.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군대죠.

    김구 등과 같은 독립운동가들의 주도하에 중국 충칭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만들어졌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무장 독립군이 바로 한국광복군입니다. 대한민국의 독립을 회복하기 위해서 일본제국주의를 타도하고 항전할 것을 목적으로 창설된 조직입니다.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했으나, 일본이 항복하면서 무산되었고 1946년 6월에 해체되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광복군은 1940년 중국 충칭에서 창설되었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대이다. 약칭하여 광복군이라 한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초기부터 군대의 편제와 조직에 관한 법규를 마련하여 군대 창설을 도모했으나 실행에 옮기지 못하다가 중국의 임시 수도 충칭에 정착하면서 광복군을 창설하였다. 병력모집과 확충에 주력하여 광복군의 규모는 급속히 확대되었다. 1945년에는 미국 OSS와 협력하여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으나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실행 직전에 무산되었다. 광복 후 미군정당국이 임시정부를 인정하지 않아 무장해제된 상태로 귀국하여 1946년에 해체되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