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전쟁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이스라엘 파키스탄 분쟁으로 5차 중동전쟁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중동전쟁은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1-4차 중동전쟁은 어떤 전쟁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대인의 시오니즘으로 시작된 이스라엘(1948년 건국)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은 범아랍권의 개입으로 지금까지 네 차례나 치러졌습니다. 1차 중동전쟁은 이스라엘 건국으로 범아랍권과의 전쟁이었습니다. 이집트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라크 5개국과 이스라엘의 전투에서 이스라엘이 승리합니다. 수에즈 위기로 인한 2차는 이집트 수에즈운하를 둘러싼 미국 영국 이스라엘의 침략(삼국침략)으로 촉발되었습니다. 3국이 물러나면서 끝났습니다. 3차는 6일전쟁으로 불립니다. 1964년 게릴라들의 기지가 된 시리아를 이스라엘이 1967년 4월 대규모로 공습하면서 촉발되었습니다. 6월5일 이집트-이스라엘 전쟁으로 확전되어 이스라엘이 이집트 시나위반도를 점령하였습니다. 4차는 이집트의 선제공격으로 시작하여 욤키푸르(속죄의 날)에 공격을 감행하여 개전 48시간만에 이스라엘 17개 여단이 전멸하였습니다. 이집트와 함께 시리아도 참전하여 승리를 목전에 두고 있을 때 미국의 개입으로 이스라엘은 기사회생하게 됩니다. 이처럼 이스라엘은 작지만 강한 나라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중동에서 거점을 확보하려는 미국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동전쟁에 대한 간단한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1차 중동전쟁 (1947-1949):
원인: 이스라엘의 선언과 아랍 국가들의 반발, 이스라엘의 독립선언
결과: 이스라엘 독립 인정, 팔레스타인 분할, 규모 큰 난민 유발
2차 중동전쟁 (1956):
원인: 수에즈 위기, 이스라엘, 프랑스, 영국의 공동작전
결과: 이스라엘, 프랑스, 영국의 승리, 수에즈 운하 재개발, 국제안보위원회(UNEF) 설립
3차 중동전쟁 (1967):
원인: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 갈등, 푸에르토리코 전략
결과: 이스라엘의 승리, 시나이 반환, 원점복귀
4차 중동전쟁 (1973, 아라비아의 봄 또는 이스라엘-아랍 전쟁):
원인: 아랍 국가들의 공동공격, 아랍 국가들의 선제공격
결과: 이스라엘의 전술적 패배, 그러나 전략적 승리, 새로운 중동 질서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