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기막힌다람쥐80
기막힌다람쥐80

몸에 털이 없는 사람이 진화된 사람이라는데 맞는건가요?

몸에 털이 많으면 많을수록 열성유전자가 많고 털이 없는 사람일수록 우성유전자고 진화가 잘되었다고 하는데 잘이해가안되서요 털의 유무가 진화와 상관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필요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진화하면서 퇴화되는 것은 맞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사람의 경우 꼬리이며 현재는 꼬리뼈 부분만 남아 있지요.

    하지만 반드시 털이 없는 유전 요인이 우성인 것은 아니니 참고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털의 유무가 진화와 상관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조금 복잡한 문제입니다. 털의 유무는 생물의 적응과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진화에 대한 단일한 규칙이 아닙니다.

    털은 동물에게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털은 보온재로 작용하여 추운 환경에서 몸을 보호해주기도 하며, 일부 동물은 털을 이용하여 자신을 숨기거나 또는 먹이를 사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경의 변화에 따라 털의 유무가 동물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털의 유무는 진화에서 하나의 단일한 특징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진화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털의 유무와 진화 사이에는 단순한 인과 관계보다는 복잡한 상호작용과 맥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진화는 개체의 유전자들이 자연선택과 돌연변이 등에 의해 바뀌어가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특정한 유전자나 특징만으로 진화를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털의 유무와 진화의 관계는 단순히 열성유전자와 우성유전자로 설명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다른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는 복잡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은 원래 몸에 털이 있었으며, 진화 과정에서 털이 줄어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털의 양과 종류는 인종, 성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인간 모든 종족에게 털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사람의 털은 다른 동물에 비해 매우 짧고 얇아져서 거의 눈에 띄지 않습니다. 또한, 인간이 진화 과정에서 더욱 발전된 두뇌와 지능을 갖게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몸을 보호하고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사람의 털은 원래 체온을 유지하고, 외부의 유해한 요소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인류가 옷을 입기 시작하면서 체온 유지의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이로 인해 몸의 털이 점차 얇아지고 줄어든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털이 적은 사람이 더 진화된 사람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사람마다 털의 양이나 분포는 유전적 특성,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이유로 차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몸에 털이 없는 사람이 더 진화된 사람이라는 속설은 과학적 근거를 갖추지 못한 주장입니다.


    진화는 개별 개체 수준에서의 변화가 아니라, 종 전체의 유전적 구성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같은 시대에 살고 있는 같은 종의 개체들은 모두 같은 진화 단계에 있습니다.


    또한, 진화되면서 변한 특징들은 많지만, 이 특징들은 각각의 유전자에서 독립적으로 전달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몇몇 특징이 진화되기 전 상태와 같다고 해도, 그 사람 전체가 진화가 덜 된 것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진화에는 정해진 방향이 없습니다. 어떤 시기에는 특정한 방향이 생존에 유리했을 수 있지만, 다른 시기나 환경에서는 반대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털의 양만으로 진화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부적절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환경에 적응하는 것은 포유류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아무래도 과거에는 옷이라는 것이 거의 없던 시절이어서 피부를 보호해주는 것이 털이었을 것입니다. 이제 현대로 와서 의류가 발전했고 언제나 옷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털의 존재가 크게 중요하지 않게 되면서 사람은 털이 점점 없어지는 방향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