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영화산업은 어떻게 될까요? 그리고 영화산업도 나라의 경제에 영향을 많이 미치나요?
현재 AI의 발전속도가 엄청나던데요.
얼마 전 영상을 하나 봤는데, AI가 영화 및 영상도 만들어 주던데, 이렇게 되면 1인 영화제작도 가능해 질 것 같아보입니다.
이런 것이 영화 산업에 영향을 많이 미치게 될까요?
그리고 영화산업은 나라의 경제에 어느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화관산업은 앞으로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는 OTT 산업이 점점 커지고 가정집에도 영화관에 버금가는 화질로 볼 수 있고
다양한 콘텐츠를 편하게 시청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콘텐츠 산업은 앞으로 더 발전할 여지가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AI의 발전으로 인해 영화산업에도 다양한 변화가 예상됩니다.
특히 영상 제작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1인 미디어 제작자들이 늘어나면서, 콘텐츠 생산의 문턱이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인간의 창의성을 완벽히 대체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급격한 변화보다는 점진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합니다.
한국의 영화산업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5조원으로, 우리나라 GDP 대비 0.4%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큰 비중은 아니지만 문화적 가치와 국가 이미지 제고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화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습니다. 극장을 가진 영화제작사등에게 위기로, OTT, 1인제작사등에겐 기회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화산업과 같은 경우에는 아직까지 우리나라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으나 부가가치가 엄청난 산업입니다. AI 등이 영화산업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등 할 것으로 예쌍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영화 산업의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에도 OTT가 상당히 빠르게 진출하고 보급이 되면서
직격탄을 맞은 곳 중에 하나가 영화 산업입니다.
그렇기에 당분간 영화 산업에 대한 전망은 부정적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제작비도 계속해서 상승일로에 있기에
부정적인 의견에 더 힘이 쏠리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