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관세협상이 끝난 일본에 트럭에 대한 관세 25%를 부과하겠다고 하는데 어떤 이유에서일까요?
미국이 이미 협상이 끝난 일본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려는 경제적 배경과 의도는 무엇인가요? 미국의 무역 압박이 일본을 넘어 우리나라 등 다른 국가의 산업과 무역 협상에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미국은 여러가지 품목에 대하여 추가적인 관세를 부과하고자 하며, 대형트럭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기존에 협의된 승용차 추가관세 정책과는 별개로 진행되는 것이라는 입장이 있습니다.
결국 미국에서는 대형트럭에 대한 수요도 상당히 많아 이에 대한 산업보호를 강화하는 움직임이며, 이에 대한 관세를 낮추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협상절차를 요구할 수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일본산 트럭에 25퍼센트 관세를 언급하는 건 단순한 통상 이슈라기보다는 정치적 메시지가 크게 깔려 있다고 봅니다. 미국 내 자동차 산업 보호 명분을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무역 흑자를 줄이고 일본을 협상 테이블에 더 강하게 묶어두려는 의도가 큽니다. 이미 협상이 끝난 상태에서 추가 관세를 들고 나오는 건 동맹국에도 언제든 압박을 가할 수 있다는 시그널이 되는데 이런 흐름은 우리나라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나 배터리처럼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산업은 향후 협상에서 불리한 조건을 강요받을 수 있고,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도 정치 논리가 경제 논리를 덮는 상황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 미국이 다른 관세를 빌미로 일본 및 기타 국가들로부터 돈을 뜯어내기 위해서라고 생각됩니다. 아울러 이러한 조치에 대하여는 현재 SNS 상으로만 이야기가 나오고 있기에 실제 부과될지 여부는 체크를 하여야된다고 새각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