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 무선충전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요즘 보면 이어폰, 핸드폰, 스마트와치 등등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기기들이 많은거같은데
이러한 기기들이 무선충전을 할수 있게되는 원리는 무엇인지가 궁금해요
어떤 방식으로 전기가 충전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무선 충전은 무선 충전기에 내장된 코일이 전류를 흘리면서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기기에 내장된 코일이 이 자기장에 가까이 다가가면 전류가 유도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무선충전은 주로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는데, 이는 변압기의 기본 원리와 유사합니다. 무선충전 패드 내에 있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이 가까운 거리에 있는 기기 내부의 코일과 상호작용하여 전류를 유도합니다. 이 유도된 전류가 기기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합니다. 자기장은 공기를 통해 전달되므로 물리적으로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아도 전력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무선충전 효율은 코일의 정렬, 거리, 패드의 출력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의 원리는 전자기 유도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충전 패드와 기기에는 각각 코일이 내장되어 있는데, 충전 패드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서 자계가 발생합니다. 이 자계는 기기의 코일에 도달하여 전류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기기 내의 배터리가 충전됩니다.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으로, 충전 패드와 기기가 가까울수록 효율이 높아집니다. 무선충전은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효율과 충전 속도는 유선충전에 비해 여전히 개선될 여지가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
무선 충전용 패드와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 부품 간에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서
스마트폰의 리튬 이온 배터리가 충전되는 방식이예요~
조금더 자세하게 설명을 하자면
무선 충전용 패드에 교류전원이 공급되면
전기 코일이 안쪽에 동그랗게 말려있어요.
이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기장이 위에 올려진 스마트폰 방향으로 생겨나요.
자연계에는 항상 균형을 이루려는 속성이있거든요.
그래서,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부에있는 코일에서도
무선 패드 방향으로
즉, 반대방향으로 전기장을 발생시켜요.
이 전기장이 발생하면 코일 회로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요~
이 전류를 리튬이온 충전부의 양극으로 보내서
충전을 하게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무선 충전은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합니다. 두 개의 코일이 있는데,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입니다.
송신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리면 코일 주변에 교류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이 자기장은 수신 코일을 가로지르면서 수신 코일에 전류를 유도시킵니다. 이렇게 유도된 전류를 정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원리입니다.
이를 전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하며, 마이크로파 대신 자기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단,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력 전송 효율이 높아집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원리로 무선 충전이 이뤄집니다.
교류 전원 → 송신 코일에 흐름 → 코일 주변 자기장 형성
자기장이 수신 코일을 통과하면서 수신 코일에 전류 유도
유도된 전류를 정류기로 정류
정류된 전류로 배터리 충전
최근에는 자기 공명 결합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도 개발되어 거리를 조금 더 늘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기본 원리는 전자기 유도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무선 충전 기술은 크게 ‘자기 공진 방식’과 ‘자기 유도 방식’ 둘로 나뉜다고 하죠. 기본적인 원리는 전력을 코일에 흘려서 전기를 전송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둥그렇게 말아 놓은 코일에 강한 전류를 흘리면 자성이 생기는데요.
여기서 생긴 자성은 다른 코일에 가까이 대면 그쪽으로 전달되는데 이를 반대로 하게되어 전류가 되어 충전되는 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