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5.27

일본의 거품 경제의 원인과 붕괴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일본이 예전에 거품 경제가 될만큼 엄청나게 경제적 호황을 누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경제적 호황을 누리게 된 배경은 무엇이고, 경제가 붕괴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플라자 합의 이후 금리를 인하하면서 부동산과 주식에 거품이 끼였고 이를 금리인상으로 막으면서 거품이 붕괴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80년대 일본 경제 버블은 주로 두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였습니다. 첫 번째 요인은 금융 자본의 과다한 투자와 대출, 두 번째 요인은 부동산 가격의 급등입니다.

    80년대 초반, 일본의 금융 기관들은 저금리 정책과 자율적인 신용 통제로 인해 대출 확대를 진행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대규모 투자와 인수합병을 진행하고, 주식 시장에서도 과도한 투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자본이 과도하게 풍부해지고 경기가 급성장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80년대 중반부터 일본의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였습니다. 이는 저금리 정책과 땅 값의 폭등, 건설 열풍 등에 기인했습니다. 부동산 투자가 일본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가격 상승에 따른 재산 증가로 인한 부의 증가와 소비 증대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경기 부양을 위한 정책 조치로 이어졌고, 버블 경제의 형성을 더욱 격렬하게 이끌었습니다.

    버블 경제의 붕괴는 1990년대 초반에 일어났습니다. 경제적 불균형과 높은 부채 비율, 부동산 가격의 하락 등으로 인해 부실채권이 급증하고, 기업들의 파산과 금융 기관들의 어려움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따라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이 붕괴되었고, 경기 후퇴와 심각한 경기 침체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악순환은 일본 경제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 경제의 쇠퇴가 지속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 과거 1950년대와 60년대에

    축적한 기술력으로 세계 무역을 호령하였으나

    플라자합의를 통하여 엔화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수출이 꺽였고 중앙은행의 잘못된 금융정책 등으로 인하여

    버블만 형성되고 이것이 꺼져 경기가 어려워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 버블경제의 원인이 되었던 것은 플라자합의 였으며, 플라자합의로 인해서 힘들어진 경제를 위해서 금리인하를 한 것이 버블의 시작이었습니다. 플라자 합의는 미국 주도의 '미국달러 환율'을 내리는 것이었으며, 이 플라자합의에 참여한 일본, 영국, 프랑스, 서독은 이 합의에 동의를 하였습니다. 이 합의를 통해서 달러가 약세로 전환됨에 따라서 엔화, 마르크화등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면서 일본의 수출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일본은 수출실적이 감소하게 되면서 일본 수출기업들이 위기에 처하자 '금리인하'를 통해서 위기를 극복하고자 합니다. 일본의 금리가 저금리 기조가 되다 보니 일본 내수시장이 크게 상승하기 시작였고, 이때 우리가 알고 있는 일본의 부동산 시장의 급격한 상승이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부동산이 천정부지로 상승하자 일본정부는 부동산 가격의 억제를 위해서 대출량 총규제, 금리인상을 통해서 억제하기 시작합니다. (기준금리 2.5%->6%까지상승)

    결국 기준금리 인상과 정부의 규제로 인해서 일본의 부동산담보대출을 받은 이들이 급격하게 부실화되기 시작하였고 부동산가치가 크게 하락하게 됩니다. 그리고 일본 국민들은 빚을 갚기 위해서 소비를 줄이게 되었고 이 소비의 감소가 지금까지 이어져 오면서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