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존경스러운오이
존경스러운오이

예금을 해놓으면 혹시 물가 상승률을 대비해서

예금을 해놓으면 혹시 물가 상승률을 대비해서 예금의 반 만 저축하면 되는 가요? 제가 금전감각이 없어서 잘 몰라서 드리는 질문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예금을 해놓게되면 혹시 물가 상승률 대비하는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쉽게도 현 시점에서 예금 이자율이 낮은 편입니다.

    대략 2퍼센트 대에서 움직이는데

    이는 물가상승률에 비교해서 낮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을 해놓은 상태에서 물가상승률을 고려해 예금을 절반으로 낮춘다는 것인가요? 예금하고 이후 일부만 인출한다는 것은 금융기관의 정책에 따라 다르지만 복잡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은 특정 금액을 정해진 기간동안 보관하는 개념입니다.

    이에 물가상승이 있다고 해도 보통은 정해진 금리를 받게 됩니다.

    말씀하신 반만 저축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르겠으나,

    예금은 넣고자 하는 금액만큼 예치를 하시면 됩니다.

    주식투자 등이라면 현금비중을 일부 조절한다는 표현을 쓸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요즘 2프로가 조금 넘고 시중은행 1년 정기예금 금리가 2.50% 정도 나오니 사실 요즘 시중은행 예금 넣으면 물가상승 감안하면 이자 받아도 그냥 원금 보전하는 수준이라고 생각하심 됩니다

    그래서 다들 주식이건 코인이건 펀드건 금융자산에 투자를 하는거죠!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전체 평균 물가상승률과 시장금리는 거의 비슷한 추이이긴 합니다 다만 최근 5년간 식료품 물가 상승률이 배이상 높은게 문제입니다 이런 부분에서 헷지를 원한다면 예금이 아닌 추가투자수익을 고려하는게 좋습니다

    이럴 경우 포트폴리오를 원금유지자산인 50%정도를 유지하는 보수형이라면 나머지는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 다만 개별종목보다는 지수형 상품인 SPY나 VOO, IVV ETF를 우선적으로 매입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이외에 섹터형 ETF나 배당성장형 ETF를 편입하고 일부는 대체자산인 금과 같은 자산이나 리츠를 편입해서 대응하는게 좋습니다

  • 요즘은 예금 이자율이 매우 낮아서 예금을 해놓아도 물가상승률을 상쇄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그저 손해 보지 않는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