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새는 어떻게 우리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 하는지 궁금 합니다.

철새 같은 경우 아주 멀리 있는 시베리아 이런곳까지 날아가서 겨울을 보내고 오고 하는것들이 잇는데

그렇게 멀리 갈때 자기장을 감지를 한다고 하는데 어떻게 감지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조류의 눈에는 '크립토크롬4' 라는 단백질이 지구 자기장을 시각적으로 감지해서 나침반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철새가 자기장을 감지하는 방법에 관해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 가지 가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철새의 부리나 눈 주위에 자기장을 감지하는 특수한 감각 기관이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 기관은 마치 나침반처럼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방향을 인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죠.

    또 철새의 몸 안에는 미세한 자성 입자가 존재하며, 이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일종의 생체 나침반 역할을 한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철새가 눈을 통해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는데, 특정 파장의 빛과 지구의 자기장이 상호작용하여 눈에 특정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를 통해 방향을 인지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새들은 자기장을 시각적으로 관측하는것이 가능하다고합니다. 자기장을 감지하는 광수용체가 달려있는데, 자기장방향에따라 자기스핀이 달라지며 변화를 감지할수있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

  • 새가 지구 자기장을 감지하는 것은 특수한 생물학적 메커니즘 덕분입니다. 새의 눈에 있는 크립토크롬이라는 단백질이 빛과 반응하여 자기장을 시각적으로 감지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새의 부리나 머리 부분에는 철분 기반의 세포가 있어 자기장의 강도와 방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새는 방향을 잡고 멀리 이동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