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노화방지를 할수 있는 약과 치료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간의 기대수명이 계속 늘어나 지금 120세에 이른다고 하던데요~ 과학기술이 많이 발전해서 그렇다고 하던데요~ 노화를 방지 할수 있는 약과 치료법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생과 더불어, 사람을 죽음에 이끌고 가게 되는 암등의 조기 발견, 발암물질에 대한 발견과 이에 대한 회피의 노력으로 기대수명이 실제로 많이 증가했지요.

    그렇다고 노화자체를 방지하는 약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인간의 유전자는 그 길이가 조금씩 짧아지는데, telomerase 라는 효소가 그 길이를 보존할 수 있다고 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오랜 기간동안 시행되어 온것은 맞으나,

    실제로 임상에 적용되서 노화를 막는다는 약은 제가 알기론 없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노화를 예방하는 것은 단순히 건강한 생활습관과 건강검진등이 도움이 되겠지요.

  • 현재까지 완벽한 노화 방지 약물이나 치료법은 없지만, 노화 과정을 늦추거나 관련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몇 가지 접근법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라파마이신과 같은 노화 억제 물질, 텔로머레이즈 활성화, 세포 노화 제거, 멤터 세포 이식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건강한 생활 습관과 운동, 적절한 영양 섭취 등을 통해 노화 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노화를 완전히 멈추게 하거나 역전시키지는 못합니다. 노화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 노화를 완전히 막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노화 과정을 늦추고 건강한 노화를 도울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수면, 햇빛과 적절한 영양소 섭취 등이 노화를 늦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현재는 노화방지를 위해 세포가 늙지않고 계속해서 분열할 수 있도록 dna의 텔로미어가 짧아지지 않는 방법이나 최대한 길게 만들어 계속해서 세포분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연구중이라고 합니다.

    또한 노화의 원인인 체내 활성산소의 감소나 방지방법, 산화물질을 억제하거나 대신 산화를 당해줄 물질이나 영양제와같은 것들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와더불어 수명을 깎아먹는 원인으로는 노화도있지만 질병으로인한 사망도 있기때문에 질병자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많이 존재합니다.

    예를들어 암의경우 세포치료제의 방식으로 우리몸의 면역세포내에 암을 인식할 수 있는 항체를 발현시킬 수 있는 유전자를 주입하여 변형시킨 뒤 다시 체내로 유입시키는 방법으로 치료를 꾀하고있습니다.

    알츠하이머의경우 항원으로 지목되는 단백질들을 용해시키는 물질들이나 혈관확장제등을 사용하여 제거하고 증상을 늦게 나타나도록 하는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있습니다.

    이처럼 완치가 안될것 같던 분야에서도 질병에대해 정복하고자 하는노력이 들어가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수명자체를 연장시키거나 노화를 방지하는 약물이나 치료법은 아직 상용화는 되어있지는 않지만 연구중에있습니다.

  • 메트포르민은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지만 이 약물이 노화를 지연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잠재적 능력을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 연구가 있습니다. 메트포르민은 세포의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킵니다.

  •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용도변경 약물에는 '라파마이신'과 '메트포르민'이 있는데요, 라파마이신은 면역억제제로 분류돼 신장 이식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됐던 약물이며 라파마이신이 세포에서 단백질 생산 과정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mTOR를 억제해 노화를 늦추는 것이 알려지면서 노화방지 약물이 된 것입니다. 이외에도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치료법은 '텔로미어 연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간의 염색체 말단에는 텔로미어 반복 서열이 존재하고, 세포분열을 반복하면서 이 서열이 짧아지기 때문에 나중에는 세포 분열을 멈추게 되는 것인데요, 암세포 등이 가지고 있는 텔로미어 합성 효소인 텔로머라제를 이용하여 노화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나올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