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궁금했습니다.알려주시면고맙겠습니다.
사극을 보면 항시 궁금한 내용이 있었습니다.
한글을 밀들기 전에는 일상생활의 발음이
지금과 동일했는지
이니면 중국식 발음이었는지
정알 궁금합니다.
알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 시대나 고려 시대에는 지금과는 너무나 많은 단어들과 어휘들이 달랐습니다. 대부분이 우리말이 아닌 중국어 단어에서 온 말들이기에 지금 사람이 들어도 아마 거의 못 알아 들을 정도였을 것 입니다. 이것은 아마도 제주도 사투리만 들어도 그 희미하지만 윤곽을 알수 있을 것 입니다. 조선 시대에 와서 훈민 정음 창제 이후 우리말 어휘 들도 생기고 조선 후기에 와서야 비로소 지금과 비슷한 단어 및 어휘들이 사용 되어 집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언어는 고대 중국어가 아닌 고대 한국어를 사용하였고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글자는 한자를 사용한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글과 언어를 헷갈려합니다. 예를 들어 안녕은 한국어이고 한글이지만 Annyeoung은 한국어 알파벳인 겁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 창제 이전에 고위층은 일반 한문을 사용했습니다. 사실상 중국어로 문자생활을 했습니다.
이 외에 한자를 이용한 차자표기법은 신라시대의 향찰이 있습니다. 한자를 사용했지만 한국어를 거의 완전하게 표기한 표기법이었습니다.향찰 처럼 한국어를 완전하게 표기하려는 적극적인 차자표기법이었지만 그보다 소극적인 차자표기법도 있었습니다. 그중 가장 소극적인 차자표기법이 구결입니다. 한문(그러니까 중국어식)을 쓰면서 적절한 곳에 한국어식의 토를 넣는 표기법, 또는 이 토를 구결이라고 합니다. 구결문에서 이 토를 빼면 그냥 중국식 한문이었습니다.
이두는 한국어표기에 있어 향찰만큼 적극적이진 않으나 구결처럼 소극적이지 않은 차자표기법입니다. 구결은 한문원문을 그대로 살렸으나 이두는 한문의 어순을 한국어 어순에 맞춰 바꾸기도 하고 한국어에 맞는 토를 붙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한문의 요소는 남아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