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년생 저축 금액 얼마나 해야 할까요
세후 200 초반 받고 있는데, 월 저축 60만 원 하고 있습니다.
더 해야할 것 같은데 얼마가 적당할까요?
50은 적금이고 10은 청약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독립과 비독립에 따라 다르겠습니다.
만약 비독립이라면 50%는 하여야 합니다.
독립이시라면 월세도 있으실테니 지금 정도로 가져 가시는게 현실적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주거비가 나가면 그정도면 적당할듯싶고 주거비가 나가지 않는다면 100만원이상까지 올릴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돈을 모으기 시작할때 조금 무리해서라도 모아주는게 좋습니다.
일단 쓰고 남는것을 저축하는 개념보다 저축하고 남은 돈을 쓰는 생활패턴을 가져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의 30% 이상을 저축하는 것은 매우 좋은 습관이라고 생각합니다. 생활비가 크게 부담이 되지 않는다면 10~20만원 정도의 추가 저축을 고려해보시고, ETF나 우량주 주식 투자쪽으로 고려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다만, 자기계발, 비상금도 중요하니 무리하지말고, 지출 내역을 점검해 여유 자금을 확보해 나가면서 천천히 앞으로 나아가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월급 얼마가 적당한 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만약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신다면 제 욕심에서는 6-70퍼센트까지 저축액수를 늘릴 수 있지만
독립해서 월세를 내신다면 지금 액수도 적지 않은 저축액수 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평균적으로 20~30대의 통계적을 본다면 세후소득대비 평균저축률은 35%대이며 상대적으로 어느정도 저축률이 높다고 한다면 50%정도를 하는 형태가 많이 보입니다.
최근에는 지출보다는 여윳돈을 만들고 이를 저축인 투자를 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즉 월 고정지출이 70만원이라고 한다면 충분히 저축률도 100만원이상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이에 50%이상은 저축을 하는것도 좋아보입니다 다만 남성같은경우는 100%저축보다는 100만원이라는 돈에서 절반이하는 예금과같은 저축상품을 나머지 50~60%이상은 투자를 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워낙 저금리 시대이므로 전액 저축보다는 일부 포트폴리오관점에서 위험자산인 주식형상품도 고려가 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개별종목보다는 지수형 ETF나 섹터형 ETF그리고 채권형 ETF 대체자산인 금 ETF등을 편입하는것도 좋은 선택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20대의 경우 저축은 50%이상 하셔야 합니다.
결혼전에 최대한 저축을 하셔야 하며 30대가 넘으면 저축의 기회도 줄어들기 때문에 현금 흐름에 따라 50%이상 저축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사회초년생이고 거주를 부모님과 같이 한다고 한다면 월급의 50%를 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초반에 많이 저축하는게 나중에 보면 많이 모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사회 초년생 개개인 마다 거주 형태(독립, 부모님과 거주), 소비습관(모임이 많은지, 패션에 관심이 많은지 등)에 따라서 천차만별이겠지만, 가용자금이 130만원이라면 최소한 100만원 정도는 해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