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기준금리가 3프로가넘는데 최근 일부은해중 주담대금리 2프로후반이 가능한 상품이 왜 가능한건가요?

현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3프로가 넘는데요 그런데 시중5대 은행중 일부에서 주택담보대출금리 2프로후반이 가능한 상품이 나왔다고 하는데 어떻거 이런구조가 가능한 상품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강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이 낮을 가능성과 특판 상품일 가능성, 은행에서 우대금리를 적용했을 가능성, 또 대출상환방식에 따라 저금리가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경제전문가입니다.

    ✅️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가 되는 금리는 '코픽스 금리'인데, 이 코픽스 금리가 하락하게 되면서, 담보대출이므로 대출 회수가 어느정도 보장된 대출이 되기 때문에 2% 후반의 주담대 상품이 나올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기준금리 보다 낮기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손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주담대는 매우 장기적인

      대출상품으로 일단 대출을 내보내면 나중에는 수익이 될 수 있습니다.

    • 현재 은행들은 부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신용대출 보다 주담대를 더 많이 내보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그런 대출상품은 디딤돌대출과 같은 정책성 대출상품으로 저속득층이나 신혼부부 노약자들의 주택구입마련을 위해 정부의 세금으로 이자의 일부를 지윈하기 때문에 실제 대출자는 기준금리보다 낮은 대출금리를 적용받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3%를 넘는데도 불구하고 일부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를 2% 후반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유는,

    은행들 간의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낮은 금리 상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용도가 높은 고객에게는 더 낮은 금리를 제공하여 다른 은행으로의 이탈을 막으려 합니다.

    정부나 중앙은행의 정책에 따라 특정 대출 상품에 대해 지원이나 보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택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일정 부분 이자를 보전해주는 경우, 실질적인 대출 금리는 더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의 고정금리는 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 5년물 금리의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금융채 5년물 금리가 현재로서 많이 떨어진 영향을 받아, 기준금리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3.5%입니다. 따라서 금융기관의 주택담보대출은 대략 3.8%~4%초반의 금리일 것입니다. (물론 대출기간, 상환방법, 개인 신용에 따라 차이는 있습니다. )

    241님이 말씀하신 은행의 2% 후반때의 금리는 정책적으로 정부의 정책지원을 받는 금리일 것입니다.

    즉 은행의 대출가능금리가 3.8%라면 2.8%로 대출금리를 적용하여 고객에게 대출하지만 실제 그 차이(3.8%-2.8%)인 1%포인트에 대해서는 은행이 정부의 지원을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정부에서 특정 조건에 따라서 지원하는 상품 등이기에 가능한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3%를 넘는데도 일부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2% 후반으로 제공하는 이유는 은행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금리를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은행이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고객에게 우대금리를 제공하거나 정부의 정책 지원을 받아 저금리 상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은행들이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추기 위해 다양한 금융 상품을 활용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