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자속밀도를 포화시키지 않고, 강자성체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그린다면 모양은 어떻게 되나요?
보통의 강자성체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은 처음에 강차성체의 자속밀도를 포화시켰다가, 그 다음에 이를 0으로 만들고, 다시 포화시키고...이런 식으로 그리잖아요? 그런데 만약, 강자성체의 자속 밀도가 포화되는 일 없이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그린다고 한다면 그 모양은 비슷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강자성체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은 자속 밀도가 포화될 때의 자화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자속 밀도가 포화되지 않는다면, 곡선의 형태는 원래의 히스테리시스 곡선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속 밀도가 포화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자화가 강차에 비례하여 계속 증가하고 감소하기 때문에 히스테리시스 곡선이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자화와 자속 밀도 간의 관계가 비선형적이지 않으므로 히스테리시스 효과가 약화되거나 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화가 없는 경우 히스테리시스 곡선은 원래의 곡선보다 덜 둥글거나 덜 비틀린 형태를 가질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경욱 전문가입니다.
만약 강자성체의 자속밀도를 포화시키지 않고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그린다면, 곡선의 모향은 일반적인 히스테리시스 곡선과는 다르게 나타납니다. 자속밀도가 포화되지 않으면, 곡선의 상부와 하부의 평평한 부분이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대신 곡선은 좁고 얇은 타원형이나 곡선 형태를 유지하며, 포화 시 발생하는 비대칭성이 줄어듭니다. 이 경우, 자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자속밀도의 변동이 작고 히스테리시스 손실도 감소하게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히스테리시스 곡선은 자성체의 자속 밀도와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일반적으로 포화 자속 밀도를 경험한 후에 곡선이 형성되는데, 만약 포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곡선의 모양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포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자속 밀도는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지만, 포화 상태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곡선은 더 부드럽고 지속적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 전형적인 히스테리시스 곡선처럼 두 개의 루프가 생기지 않고, 상대적으로 일정한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