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4.14

전기 자동차에 대해 공부를 좀 하려고 하는데 전기에 대해...

문외한이라 아주 기초적인 질문을 드리면...

각종 전기제어장치의 항목들에 대해 공부를 하는중에 인버터라는게 있더라구요

직류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라고 되어 있는데..

여기서..직류를 교류로 전환해야 모터 속도가 제어되는지...?

직류 전류와 교류 전류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인버터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해주는 장치로, 전기 자동차에서는 배터리에서 나오는 직류 전원을 모터와 부속 장치에서 필요한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이렇게 변환된 교류 전원은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직류 전류는 전류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류입니다. 즉, 일반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방향이 항상 같습니다. 반면 교류 전류는 전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뀝니다. 교류 전류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가정용 전기 제품 등에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직류와 교류 전류의 차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는지 여부에 있다. 직류는 전류의 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흐르고 교류는 일정한 주기로 방향이 바뀌는 전류이다.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은 교류 전원으로 동작하는 모터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직류(DC)의 정의:

    직류란 + 와 - 의 극성이 정해저있는 전기를 말함니다

    즉 전류가 계속 한쪽방향으만 흐름니다

    예)건전지,자동차밧데리,휴대폰밧데리,충전용은 모두다 여기에속함


    교류(AC)의 정의:

    교류란 + 와 - 의 극성이 계속박기는(변하는)전기를 말함나다

    예)가정이나 공장에서 쓰는전기,자동차발전기,스피커에 흐르는전기(이때는 전류 라고표현)등 임니다


    [참조]

    1.직류와 교류의 차이점:

    1)직류

    가) 주파수가 없다

    나)저장이 가능하다

    다)+ - 전극이 있다

    라) 전류의 방향이 일정하다

    마) 전압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다

    바)전동기의 속도변경이 용이하다

    사)많은 용량의 전기를 사용할수 없다

    2)교류

    가) 주파수가 있다

    나)저장이 안된다

    다)+ - 전극이 없다

    라)전류의 방향이 없다

    마)전압의 변경이 용이하다

    바)전동기의 속도변경이 용이하지 않다

    사)많은량의 전기를 사용할수 있다

    2.교류의 장점

    가장큰 이유는 트랜스로 전압변환이 쉽다는 것과

    아크방전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전기제품 예를 들어 모타,히터,전구등은 가정에 들어오는 전압을 그대로 이용하지만

    대부분의 전자제품은 전압을 낮추어 직류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그런데 직류를 직류로 낮추기 위해서는 직류를 교류로 바꾸어 트랜스로 전압을 낮추고 다시

    직류로 바꾸어야 하는 꽤 복잡한 회로가 추가됩니다.


    두번째 이유는 아크방전인데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전원을 끊을때 부하가 유도성인경우(모터등)아크방전이 발생합니다.

    아크방전이 시작되면 꽤 떨어진 거리까지도 낮은 전압으로 아크방전이 계속 지속됩니다.

    전기용접기의 경우 그렇게 높은 전압(수십V)이 아닌데도 아크방전이 계속 이루어지죠.

    직류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교류는 1초에 수십번씩 0점(전압이 없는 상태)를 지나게 됩니다. 이때 아크방전은

    차단됩니다. 스위치의 용량을 보면 교류전압은 높은데 직류전압은 낮게 표시된 이유가 이것이죠.

    3.왜 가정은 교류를 사용하는지?

    가정뿐만 아니라 공장.산업.농업등 모든분야에 교류를 사용하는데...

    1)교류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것 입니다.

    즉 트랜스를 이용해서 전압을 쉽게 변환할수 있고 또한 직류를 만들기도 쉽습니다.

    2)반면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데는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4.직류는 어디쓰고 교류는 어디쓰나?

    1)한전에서 보내오는 교류가 전원의 기본이고

    모든제품에 다 사용된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닙니다.

    2)다만 직류라야만 하는것을 제외한 모든것 이라는 표현이 옳을것 입니다.

    3)직류라야만 하는것은 ....

    가)포터블용(움직이는 제품용)

    예) 자동차용.장난감.MP3.라디오.헨디폰.노트북 등등...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시다시피 AC는 교류 이고, DC는 직류 입니다.

    이것은 전기를 구분할 때 전압 또는 전류의 구분 표기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압으로는 교류전압과 직류전압의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전류로는 교류전류와 직류전류로 역시 두가지로 구분합니다.

    먼저, 두 가지의 커다란 차이점을 시각적으로 보면

    직류를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해서 그래프로 나타내면 평행한 일직선인 파형이 나오고 교류는 사인파형(물결무늬)로 나오게 되는 차이점이 있답니다.

    교류전압(交流電壓)은 AC(Alternating voltage)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는 전압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극과 -극이 수시로 바뀌는 것을 AC라고 합니다.

    직류전압(直流電壓)은 DC(Direct voltage / Direct current)로시간과 함께 전압 또는 전류값이 변하지 않는것을 말합니다.

    주기가 없으며 일정한 방향으로 +와 -가 흐르는 것을 DC라고 합니다.

    직류는 주로 회로 (반도체회로, DC회로 등)에 많이 쓰이고

    교류는 사회전반에 걸쳐 널리 쓰이는 전기를 모두 포함합니다.

    직류는 교류에 비해서 차단하기가 어렵고 또한 직류를 얻으려면 정류를 해서 직류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사회전반에 걸쳐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전기를 전류로는 구분을 하지 않고 전압으로 구별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전자부품들은 AC의 전류를 견뎌내기 어렵습니다.

    더군다나 220V 혹은 110V전원을 직접적으로받는 제품이라면 그 크기가 엄청나게 커지게 됩니다. 그래서 전자제품은 DC로 바꾸어 사용합니다.

    자동차에서 DC를 사용하고 싶을 때 다시 말해서 노트북이나 네이게이션 등을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컨버터라는 기기를 사용해서 AC 를 DC로 바꾸어 사용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직류 전압과 교류 전압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직류는 전압이 일정하게 계속 나오는 전원을 말하며 교류는 구형파를 그리며 전압이 나옵니다. 흔히 많이 사용하는 배터리는 직류 전압이고, 콘센트를 꼽아서 사용하는 220Vac가 교류 전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V=120f/P 입니다. 이중 V가 속도이며, 속도는 f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제어가 가능한거죠. 인버터가 직류전원을 교류로 변경하면서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어떤 모터는 처음부터 최고치 속도를 내지 않으며, 천천히 속도가 올라가다가 정속을 내듯이 속도 제어가 필요한 부분이 이런 경우 입니다. 그래서 모터가 들어가는 여러 전기기기들이 인버터를 사용하며, 처음부터 입력이 교류전원이라면 컨버터가 추가되어 직류로 변경하고 인버터로 제어하는 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전류는 직류(DC, Direct Current)와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두 종류가 있습니다. 직류는 높은 전위에서 낮은 전위로 전류가 변함없는 값으로 흐르지만 교류는 시간에 따라 주기와 방향이 끊임없이 바뀌는 전류입니다.

    하지만 모터는 교류 전기를 이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장치가 인버터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인버터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직류 전류는 전류의 방향이 일정합니다. 즉, 전류가 한 방향으로 흐르는 것입니다. 이에 비해 교류 전류는 전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반복됩니다. 즉, 전류가 주기적으로 양 방향으로 흐르는 것입니다.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교류 전원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해야 모터를 구동할 수 있습니다. 이때 인버터는 직류 전원을 일정한 주파수와 전압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를 구동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압과 전류는 전기의 기본 개념입니다.

    직류(DC)와 교류(AC)는 전기 전달방식 중 하나이고

    직류는 시간에 따라 전류의 방향이나 전압의 극성의 변화가 없는 것을 의미하며,

    교류는 시간에 따라 전압의 크기와 전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합니다.


    직류는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원은 직류입니다. 반면에 교류는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가정이나 회사로 전기를 공급할 때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직류와 교류는 간단히 말해 직류는 말그대로 쭉 직진하는 놈이고 교류는 상이 변화하는 놈입니다.

    다만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제품의 모터 대부분은 3상을 갖은 제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변화가 필요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히 말씀드려 직류 전류는 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말하고 교류전류는 흐르는 방향이 변하는 전류입니다.

    각각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되어지는 용도도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직류전원은 항상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전원으로, 건전지나 축전지는 사용할수록 소모되어 전압이 저하되지만, 플러스 방향의 전압인 것은 변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교류전원은 일정한 주기로 전압의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변화하는 전원입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는 교류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고,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전원을 공급해야 합니다. 소형 전자기기는 100V 전압이 과대한 경우도 많아, 5~24V 정도의 작은 전압으로 변환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즉,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대부분은 직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