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가 혼합물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중학교 과학에서 우유가 혼합물이라고만 나오고
구채적인 설명이 없어서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어떤물질들이
있기에 우유를 혼합물로 분류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는 혼합물로 간주되는 이유는 그 구성 요소들이 여러 가지로 혼합되어 있다는 점 때문입니다. 우유는 주로 물,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미네랄, 비타민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성분들이 우유 내에서 미세한 입자 형태로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우유를 혼합물로 간주합니다.
우유는 유제품 생산을 위해 출발지로 사용되기도 하는 동물의 젖에서 얻어지며, 이로 인해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유의 지방은 유지방액이라고도 불리며, 우유의 단백질은 카제인과 외부 성분인 알부민 등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는 물 지방 단백질 유당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 B, C 등 다양한 물질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우유는 혼합물이라고 분류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흙탕물과 같은 예가 있다. 흙은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흙탕물 속에 불균일하게 녹아 있고 일부는 바닥에 가라앉아 있다. 이와 대조적인 것으로 균일 혼합물이 있는데, 균일 혼합물의 대표적인 예인 소금물에 소금이 과포화되어 있다면 이는 불균일 혼합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암석은 불균일 혼합물이라 할 수 있다.
예전에는 우유도 불균일 혼합물에 포함되었었으나, 이후 콜로이드로 재정의되었다.
콜로이드(colloid) 또는 교질(膠質)은 혼합물의 일종이다.
간단히 말해 균일 혼합물과 불균일 혼합물의 경계에 위치한 혼합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액체 콜로이드의 경우 일반적으로 불균일 혼합물처럼 불투명하지만, 균일 혼합물처럼 오랜 시간 방치해도 침전물이 생기거나 층이 분리되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시로 우유가 있다.
IUPAC의 정의[1]에 따르면 1 nm~1 µm(10-7~10-4 ㎝)의 입자가 용매에 퍼져 있는 것을 콜로이드라 한다.[2] 용질 입자의 크기가 1 nm 이하인 것은 용액이라고 불린다.
명칭인 콜로이드(colloid)는 그리스어에서 아교(풀)를 의미하는 콜라(kolla)[3]에 “~와 비슷하다”는 의미의 접미사 oid를 붙인 것이다. '교질'이라는 번역명 역시 아교에서 유래한 것이다.
거름 종이는 투과하나 투석막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입자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액체 내에 고체가 퍼져있는 콜로이드만 있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콜로이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