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블랙홀의 증발이론과 호킹 복사현상에 대한 의미는?무엇인가요

스티븐 호킹이 제안한 블랙홀 증발과 호킹 복사 이론이 어떻게 입자 물리학과 우주론 연구에 영향을 미치며, 정보소실문제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블랙홀은 그 안으로 들어간 것이 절대로 밖으로 못빠져나온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1974년 스티븐 호킹이 양자역학적 관점에서 이러한 행동들이 뒤바뀌게됩니다. 양자역학에 따르면 빈공간에서조차도 입자와 반입자가 짝지어 잠깐 ㅐㅅㅇ겼다가 소멸하는 진공요동을 일으키게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블랙홀의 사건이ㅡ 지평선 근처에서 이게 일어난다면 두 입자중 하나는 블랙홀 안으로 하나는 밖으로 튀어나갈수 있게 됩니다. 이때 밖으로 나온 입자는 우리가 실제로 관측 가능한 방사선처럼 보이게 되는데 이를 호킹복사라고 하지요. 블랙홀은 조금씩 에너지를 밖으로 내보내며 질량을 줄이고 장기적으론 완전히 증발하게 하기도 합니다. 블랙홀이 복사를 한다는 것은 열역학적으로 온도를 갖게 된다는 의미이고 중력과 양자장론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블랙홀에 들어간 물질이 복사되어 빠져나간다면 원래 어떤 물질이었는지 정보가 사라지는지에 대해선 양자역학에선 정보는 보존되어야 한다고 보지만 호킹복사는 완전한 열복사로 나오는것으로 간주되어 블랙홀 안에 들어간 정보는 완전히 소실되는것처럼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