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비활동성 폐결핵 진료/치료 받아야 하나요?

건강검진에서 비활동성 폐결핵 결과를 받았습니다.

5월에 검사 받았고 8월 중순 쯤 결과를 받았습니다.

작년에는 없었는데 올해 이런 결과를 받아서 당황스럽습니다 ㅠ

치료를 받아야 하나요?

요즘 코로나19 때문에 호흡기내/외과 쪽은 웬만하면 가고 싶지 않은데 급하게 치료 받아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소탈한삵17
    소탈한삵17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장승현 의사입니다.

    말씀하신 것은 잠복결핵 일 것 입니다.

    잠복결핵이란 결핵균이 몸에 들어왔으나 면역력에 의해 억제되어 있는 상태로 질병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증상도 없고 다른사람에게 전염력도 없는 상태입니다. 면역이 약해지면 결핵균이 증식하여 발병하게 되고, 잠복결핵 감염자의 약 10% 정도가 활동성 결핵으로 발병하게 되고, 90%는 단순히 잠복결핵감염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원인으로는 활동성 결핵 감염자에 의한 결핵균 노출로 인해 발생합니다.

    잠복결핵감염인 중에서 발병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활동성 결핵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치료하게 됩니다.
    약물치료로는 이소니아지드/리팜핀(항결핵제) 병합요법으로 3개월 복용하는 방법과
    이소니아지드(항결핵제) 단독요법으로 9개월, 또는 리팜핀(항결핵제) 단독요법으로 4개월 복용하는 방법이 있으나여러가지를 고려하여 의사의 판단에 따라 치료하게 됩니다.경우에 따라서는 흉부 엑스레이를 정기적으로 실시합니다.

    약물치료를 받으면 결핵 발병을 90%이상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활동성 폐결핵은 흉부 X-ray사진에서 폐결핵을 앓고난 흔적처럼 보인다는 소견입니다. 비활동성 폐결핵은 추가적인 검사나 치료가 필요한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답니다. 그냥 다음 정기검진 때까지 지켜보시면 됩니다. 만약 기침, 가래가 2주 이상 지속되는 증상이 있다면 그 때는 정기검진 시기가 아니더라도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와 검사를 다시 받으시는 것이 필요하니 기억하시면 좋겠구요.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