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담보대출시 대출기간 설정은 짧을수록 유리한가요
아파트담보대출시 대출기간이 길면 은행이 유리하고
짧으면 대출자가 유리한게 맞나요
상황마다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어떤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에 재직중으로 주택담보대출 대출기간과 관련해서 대답 드리도록 할게요
일반적으로 대출기간이 길수록 금리는 높아지게 되는데 은행 기준으로 10년이상 기간이 설정되면 10년이나 20년이나 30년이나 금리 스프레드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그리고 은행은 만기가 길면 금리를 높게 받고, 만기가 짧으면 금리를 낮게 받는 식으로 금리 조절을 하기 때문에 고객의 금리 선택이 은행의 수익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는 않아서 은행을 기준으로 유불리는 없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은행은 모든 대출에 대해서 가중평균을 하는 수익성을 가지기에 현재 진행한 대출의 수익성 여부는 현재기준이라기보다는 미래 기준의 수익성에 더 초점을 맞추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대출을 선택하실 때는 질문자님에게 맞는 상황에 선택을 하시는게 가장 유리한데 대출을 하실 때 고려하실 사항은 다음과 같은 것을 고려해주세요
대출금액이 클수록 금리는 낮아진다
대출기간이 길수록 금리는 높아진다
은행상품의 고정금리 기간은 총 대출기간의 1/3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정부상품 제외)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일률적으로 그런 것은 없습니다.
원금이 정해져 있는데
대출만기가 길면 그만큼 한달에 갚아나갈 금액이 적어지는 것이고
대출만기가 짧으면 상대적으로 금방 갚게 되겠지만 매월 갚을 금액이 당연히 커지겠죠.
저마다 처한 상황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대출기간 설정시 짧고 길고에 대한 유리한 것은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대출기간이 길다면 총 이자비용이 크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이자와 원리금을 상환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대출기간이 짧다면 총 이자비용은 낮지만 달에 상환하는 이자와 원리금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따라서 상환 여유가 높다면 기간을 짧게 잡아도 되지만 상환부담이 크다면 대출기간을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답은 없습니다만
계속하여 화폐의 가치는 자본주의의 시스템상
줄어들기 때문에 이자율이 상당히 적은 편이라면
개인적으로는 대출기간이 길수록 개인에게 유리하며
고금리일 경우에는 금융기관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