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고도가 높은곳에 가면 귀가 막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유소유소유입니다.아주 높은 곳에 올라가면 귀가 막히는 거로 알고

있었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왜 귀가 막히고 조금지나면 사라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 곳에 올라가면 귀가 막히는 것은 우리 신체 내부의 압력과 외부 기압이 지표면에서는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고도가 높아지면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높은 곳으로 올라갈 수록 지구의 중력이 약해져서 공기의 양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높은 곳에 올라갈 수록 공기의 양이 줄어들면서 압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외부의 기압이 낮아지면 귓속의 고막이 점점 밖으로 밀려나게 되고, 밖으로 밀려난 고막은 소리를 제대로 진동하지 못해서 소리가 잘 들리지 않고 멍멍하게 됩니다. 입을 크게 벌리는 것을 반복하면 귀의 공기통로가 잠시 열리면서 외부와 기압이 맞춰져서 멍멍한 것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도가 높은 곳에는 기압이 낮아집니다. 그래서 귓속안의 기압과 외부 기압의 차이로 발행하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 곳으로 갈수록 압력이 약해집니다

      그러니까

      우리몸과 공기는

      서로를 끌어당기고 밀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그런데

      평소에 낮은 곳에 살던 사람이 그 압력에 적응해서 그만큼을 밀어내는데

      높은 곳에 가면 그 만큼보다 공기가 적게 미니까

      먹먹한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 유스타키오관은 귀에 들어오는 기압을 조절해줍니다.

      그런데 귀가 멍해진다는 것은 유스타키오관이 기압을 유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산의 기압에 의해 고막의 모양이 달라지는데, 평상시 평평한 고막이 기압이 강한 쪽으로 밀려서 멍해지기 때문입니다.

      입으로 소리를 내거나 침을 삼키면 다시 압력이 조절되어 괜찮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도가 높아지면 산소가 부족해지며 기압이 낮아지게 됩니다. 상대적으로 몸 내부 압력은 그대로이므로 압력차이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귀가 막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