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지혜로운사자35
지혜로운사자35

카메라가 화면에 보이는건 가시광선이 반사되어서 그 광선을 센서가 받아서 보여주는 건가요??

카메라가 화면에 보이는건 가시광선이 반사되어서 그 광선을 센서가 받아서 보여주는 건가요?? 아니면 다른 원리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카메라화면이 보이는 것은 물체나 물건에 반사되어서 나오는 가시광선을 센서가 받아서 그것을 디지털화 해서 영상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열화상 카메라의 경우 적외선을 감지하는데요. 열이나는 물건이나 물체들은 적외선이 나오기 때문에 그것을 감지해서 보여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

    우리가 카메라로 세상을 보는 원리를 쉽게 풀어보면, 기본적으로 말씀하신 것 처럼 가시광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들어오는 빛을 센서가 받아 영상으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 물체에 빛(가시광선)이 반사됨

    • 카메라 렌즈가 그 빛을 모아줌

    • 이미지 센서(CMOS, CCD)가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

    • 전기 신호가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되어 화면에 표시

    정리해 보면 카메라는 결국 눈과 비슷하게 빛을 받아 전기 신호로 바꾸고, 그걸 다시 영상으로 보여주는 장치입니다.

    궁금증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

    핵심만 보자면 맞습니다. 카메라는 물체에서 반사된 가시광선을 센서가 받아서 이미지로 바꿔주는 장치입니다.

    주변의 광원에서 나온 가시광선이 물체에 닿아 일부가 반사되면 이 반사된 빛이 카메라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한 점(초점)에 모이게 됩니다. 이 곳에 카메라의 이미지 센석 있으며, 센서 표면에는 빛을 감지하는 광다이오드가 촘촘히 배열되어 있어 들어온 빛의 세기와 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렇게 받은 전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바꾸고, 색 보정, 노이즈 제거, 밝기 조절 등의 후처리 과정을 거치면 우리가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화상 데이터(픽셀로 이루어진 사진 파일)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일반적인 카메라는 사물에 반사된 가시광선을 렌즈를 통해 받아 센서에 기록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인데요. 센서는 빛의 강약과 색깔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 신호를 처리하여 우리가 보는 화면에 색상과 형태로 나타내는원리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가시광선이 반사되어서 빛을 센서가 감지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빛이 물체에서 반사되면 그 반사된 빛이 렌즈를 통해 센서에 도달하고 센서가 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바꿔서 화면에 보여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카메라가 화면에 보이는 것은 기본적으로 가시광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나온 빛이 렌즈를 통해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에 도달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이를 다시 화면에 영상으로 보여주는 원리입니다. 즉, 물체에 가시광선이 닿아 그중 일부가 반사되고 그 반사된 빛을 센서가 받아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사람의 눈이 사물을 보는 원리와 카메라가 이미지를 형성하는 원리는 동일하게 가시광선의 반사에 기반합니다. 물체가 특정 파장의 가시광선을 흡수하고, 나머지를 반사하는데, 반사된 빛이 카메라 렌즈에 들어와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영상으로 재현합니다. 이 과정은 일반 카메라뿐만 아니라 적외선 카메라나 열화상 카메라 등 특수한 카메라의 경우는 다소 다르지만, 일반적인 가시광선 카메라에서는 반사된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원리가 기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카메라는 물체에서 반사된 가시광선을 렌즈로 모아서 이미지 센서가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원리입니다. 그 전기 신호를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해서 화면에 색과 밝기로 보여주는 거라, 기본적으로는 눈이 빛을 받아들이는 원리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사물에 닿아 반사된 가시광선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센서로 들어옵니다.

    따라서 일반 카메라는 사물에 반사된 가시광선이 렌즈와 센서를 거쳐 전기 신호로 바뀌어 화면에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카메라가 화면에 보이는 것은 렌즈를 통해서 보는 것으로 렌즈에 빛이 모이는 것을 통해 이를 하나의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아날로그의 형태가 있고 디지털의 형태가 있지만, 디지털의 형태의 경우 최종적으로 아날로그 to 디지털로 a/d 변환을 하여 최종적인 픽셀 등의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픽셀들이 모여 최종적인 사진의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카메라가 화면을 보여주는 원리는 기본적으로 물체에서 반사된 가시광선을 이미지 센서가 받아들이는 과정입니다. 렌즈에 들어온 빛들을 모아서 초점을 맞추고, 센서의 픽셀이나 빛의 세기와 색 정보들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을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죠. 이 신호가 디지털로 처리해서 화면에 영상으로 표시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카메라는 피사체에서 반사된 가시광선을 렌즈로 모아 이미지 센서에 도달시키고 센서가 그 빛의 강도와 색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 화면에 표시합니다 즉 눈의 망막과 비슷한 역할을 센서가 수행하는 것이며 적외선 카메라처럼 특정 파장대 센서를 쓰면 가시광선이 아닌 빛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