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친절한부엉이971
친절한부엉이97122.08.30

바이러스와 세균의 다른점이 무엇일까요

세균에의한 감기가있고 세균에의한 폐렴이있고 바이러스에의한 폐렴이있고 바이러스에 의핸 코로나가 있고. 세균과 바이러스의 다른점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균 : 세포막, 세포질, 세포벽등으로 구성되며, 자체적으로 증식이 가능합니다.

    바이러스 : DNA, RNA가 단백질에 의해 둘러쌓여있으며, 자체적으로 증식이 불가하고 숙주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바이러스가 잠복기를 갖는 이유는 숙주내에서 증식하여 자기 몸을 복제하고 있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기간에는 숙주 밖으로 나가지 못하며 바이러스의 감염이 타인에게 퍼지지 않는 기간입니다. 또한, 잠복기에는 바이러스가 면역세포와 싸우며 증식하는데 면역력이 강한사람일수록 잠복기가 길고 면역력이 약한 사람일수록 잠복기가 짧은 특징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증식이 끝나면 숙주 밖으로 나가기 위해 기침이 나도록합니다. 기침을 통해 외부로 나가 다른 숙주로 옮겨가 다시 증식을 시작하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바이러스의 감염이 확산되는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31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조와 생존방식의 차이 입니다.

    세균은 세포막,세포벽, 핵산,단백질등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양분이 있는 땅, 물, 공기, 음식등 어느곳이든 발생되고 기생 합니다. 또 스스로 세포분열을 하면서 생존 합니다.

    바이러스는 핵산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살아있는 생물체의 세포를 숙주로 생존 합니다. 크기도 세균에 비하여 매우 작습니다.


  • 바이러스는 단백질 껍질이 전부라 세포라고 하지 않고, 숙주가 있어야 생존/증식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가운데에 정의되고 있습니다.

    세균은 단세포 생물체로 스스로 살아가고 번식이 가능합니다.


  • 병원체란 인간 또는 동·식물에서 감염성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생물체를 말하는데요, 바이러스와 세균은 사람을 포함한 동식물에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집니다. 하지만 둘은 큰 차이가 있는데요, 바이러스는 엄밀히 말해서 생명체가 아닙니다. 이는 생명체의 기본 구성 단위라고 할 수 있는 세포로 이루어져있지 않으며, 스스로 독립적인 증식이 불가능하고, 숙주세포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세균은 스스로 독립적인 증식이 가능한 단세포로 이루어진 원핵생물입니다. 또한 세균에 비해서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의 크기는 50~100분의 1 정도의 크기로 매우 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