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에서 저항이 무한대라는 말이 연결되지 않았을때인가요?
전기테스트기로 체크시 선두개가 떨어져있을때 바늘이 왼쪽 무한대를 가르키는것이 맞는가요?
저항이 무한대로 많다는 뜻인데 떨어져있다.?헤갈리네요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항이 무한이라는 말은 저항을 뚥고 전기가 흐를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끊겨잇거나 부도체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재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항은 전기의 흐름을 열에너지로 바꾸어 방해하는 요소를 말합니다. 저항 이 크면 전기흐름을 방해하는 힘이 크다는 뜻입니다 저항이 무한대면 전기가 흐르지 않습니다. 답벽이 도움이 됬다면 좋아요추천 부탁드립니다.
전선 2개가 떨어져있으면 전기가 흐르지 못합니다.
당연히 떨어져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전선 2개가 연결되어있더라고 저항이 무한대라면,
저항이 너무 커서 전류가 흐르지 못합니다.
즉, 측정기의 입장에서는 둘 다 동일한 결과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도선이 끊어져있다고하더라도 두 도선사이에 채워진 공기같은 물질들도 저항으로 잡히기때문에, 사실상 도선이 완벽히 끊어진것은아니고 공기의저항만큼 저항이 측정불가능할 정도로 커졌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마 질문자께서는 저항의 무한대와 저항의 0을 헷갈려 하시는 듯 합니다.
저항의 무한대 = 저항이 많다 = 전하가 흐르기 힘들다 = 전기가 안 통한다.
저항의 0 = 저항이 적다 = 전하가 흐르기 쉽다 = 전기가 잘 통한다.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콘센트를 꽂지 않으면 공기중에 콘센트가 노출되어 있어도 작동하지 않 듯 선 두개가 떨어져 있으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저항값에서는 무한대로 표시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무한 저항을 갖는 와이어 또는 회로 분기는 두 회로 지점 사이에 전류 또는 차단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이를 개방 회로 상태라고도 합니다.
회로 용어에서 무한 저항은 개방 회로를 나타냅니다. 개방 회로는 점 사이에 간격이 있거나 와이어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전류가 없거나 거의 XNUMX에 가까운 저항이 있는 와이어를 통해 흐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저항이 무한대라는 것은 전류는 0이라는 말이기에 open이 되었다는 말입니다. 그렇기에 끊어진 곳이 어딘지 살펴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