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은혜로운날다람쥐57
은혜로운날다람쥐5723.02.22

지구온난화인데 겨울에 더 추운 이유좀 알려주세요

지구온난화인데 겨울마다 너무 춥습니다

온난화와 겨울은 관계가 없는것일까요 아니면 추위도 온난화와 관련이 있을까요

어렵지 않게 설명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온난화는 지구 전체의 평균 기온이 오르는 현상이지만, 이것이 모든 지역에서 모든 시간에 일관된 영향을 끼치지는 않습니다. 겨울철에 더 추운 이유는 지구온난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다양한 기후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이유는 복잡합니다.

    첫째,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 지역의 얼음이 녹아내리면서, 해빙이 줄어들어 해양의 열이 대기로 방출되는 양이 늘어납니다. 이는 극 지방에서의 기온 상승을 유발할 수 있고, 극 지방의 기온 상승이 교란된 대기순환을 야기하여 한랭 공기가 남쪽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둘째, 태양 복사량이 겨울철에는 적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일출과 일몰 사이의 일조시간이 짧아져서 지역적으로 기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셋째, 겨울철에는 대륙에서 찬 공기가 바다로 향해 흐르면서, 바람으로 인해 기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철에 더 추운 이유는 단순히 지구온난화 때문만은 아니며, 여러 가지 기후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올해 심화된 강추위는 10년 15년을 주기로 돌아오는 북극진동에의한 한파라고 합니다. 북극진동이 강하면 극지방의 추운기단이 아래위도까지 내려오게됩니다.

    지구온난화와 별개로 극지방의 추위는 아직도 매우차갑기때문에 북극 기단이 내려오면 추울 수밖에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북반구 쪽 겨울의 추위는 북극의 공기가 아래로 내려와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온난화가 심하지 않은 시절에는 북극의 찬 공기를 막아주는 대기의 흐름이 있었는데

    온난화로 인해 지구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공기의 흐름이 바뀌게 되었고

    그로인해 북극의 공기가 아래로 내려와 추워졌습니다.

    온난화가 지속적으로 이뤄져 지구의 온도가 계속 상승한다면 결국에는 겨울에도 더워질겁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2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온난화는 전체적으로 지구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겨울에도 여전히 추운 날씨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우선, 지구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아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서, 북극 지역의 고기압이 약화되고, 극지방과 남쪽 경도 60도 이상 지역 사이에 형성되는 차압이 감소합니다. 이는 극지방에서 제어하던 찬 기류가 남쪽으로 흐르는 속도가 빨라지고, 남쪽 경도 60도 이상 지역에서 남풍이 강해지면서, 강한 추위를 일으키게 됩니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바다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수증기가 증발하고, 대기 중 수증기 양이 증가합니다. 이는 대기 중 습도가 높아지고, 추위를 더 느끼게 만듭니다. 또한, 습도가 높아지면 구름이 많아져 일조량이 감소하고, 태양 복사도 대기 중에서 반사되어 지구에 도달하는 양이 줄어들어 더욱 추운 날씨가 이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온난화로 인해 바람이 강해지고, 기압 변화가 빈번해지면서, 국지적으로 날씨의 불안정성이 증가합니다. 이는 강한 추위, 폭설, 폭풍, 한파 등의 기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들은 폭발적인 기상 현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더욱 불쾌한 추운 날씨를 경험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온난화는 전체적으로 지구 기온이 상승하는 추세이지만, 지역적인 기상 현상과 과거의 기후 패턴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겨울에도 여전히 추운 날씨가 이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많은 과학자들은 그 이유를 ‘급격한 온난화에 대한 지구의 반작용’이라고 해석한다고 하네요

    지구의 평균기온은 끊임없이 오르락내리락했지만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는 않았다. 추워지면 기온을 높이는 방향으로, 더워지면 낮추는 방향으로 지구는 나름의 노력으로 안정을 유지하려 한다. 하지만 최근 급격하게 오른 지구 기온으로 이를 유지하기 위해 반대로 낮추기 위해 국지적 한파가 온다고 합니다.


  • 지구가 온난화된다는데 왜 겨울애 추운지가 궁금하시군요. 지구가 온난화되면서 북극의 얼음이 녹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북극과 적도부근의 온도차가 적어지게 됩니다. 그렇게되면 북극의 한기를 가두어 두던 제트기류라고 부르는 대기권 상층에 부는 매우 강한 바람이 약해지고 고위도의 한기가 남쪽으로 쳐지면서 추위가 나타나게됩니다. 하지만 제트기류가 출렁이면서 한기로 매우 추운지역이 있는 반면에 매우 더운 지역도 있습니다. 올 해를 예로들면 유럽은 따뜻해 눈이 오지 않아 알프스 산맥의 스키장이 문을 닫은 반면에 북미쪽은 매우 추워 체감온도가 영하 77도까지 하강하여 신기록을 세웠다는 얘기도 들려옵니다. 겨울에 추운지역이 있더라도 전지구적으로는 계속 온도가 상승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하면서 지구 전반적으로 기온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여름철 더위가 더 심해지고, 겨울철에는 추위가 더욱 깊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남극과 같은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서 해빙 면적이 늘어나면서, 대양에서 수증기가 더 많이 상승하여 북극 공기가 남하하면서 추위가 더욱 깊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대기의 수증기 양도 증가하면서 눈이나 비의 양이 늘어나기 때문에, 특히 한겨울에는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추위가 더욱 깊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