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날씬한매사촌124
날씬한매사촌12421.06.10

코로나 백신 혈전 증상이 어떤건가요??

내일 코로나 접종을 앞두고 있는데

혈전 증상이 나타날수 잇다고 하는데 혈전이 어떤건가요??

그 증상이 일어나면 병원으로 바로 가야 하나요?

아니면 집에서 쉬면서 증상을 지켜보고 있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혈전은 매우 드문 확률로 발생한다고 알려졌지만, 백신을 접종하신 직후 또는 2주 이내에 이상 증상이 나타날 경우 빠르게 내원하시어 적절한 치료를 받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백신 접종 후 숨이 찬다든지, 호흡곤란, 흉통, 다리 붓기, 복통 등의 증상, 심한 근육통, 두통 등의 증상이 지속할 경우에는 단순히 약물을 복용하시는 것보다 응급실에 내원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까지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 유행을 종식시킬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은 백신 접종을 통해 항체를 획득하는 것입니다.그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항체를 획득하여 집단 면역을 형성하면 간헐적인 감염이 발생하더라도 지금처럼 대유행하는 감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임상시험을 통해 지금까지 알려진 부작용은 모더나,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에서 모두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최근 유럽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보고되고 있는 혈전사례 대부분은 매우 드문 특이 혈전증으로 국내에서 백신 접종 후 보고된 사례는 유럽 사례와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5월 31일 국내에 첫 희귀혈전증 사례가 보고되었으나 특별한 후유증 없이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의 이득이 접종 후 희귀혈전증 발생으로 인한 위험을 상회하므로 계속 접종을 권고합니다 (만 30세 미만에서는 접종에 따른 사망 위험성과 과 매우 드문 혈전의 위험이 비슷하여 접종을 보류하였으나, 만 30세 미만에서도 접종시 중증 예방의 효과는 매우 드문 혈전의 위험성을 상회합니다).

    증상 발생시 해열제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을 복용하시고, 복용 후에도 증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내원하시어 추가적인 진찰 및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발열, 근육통, 두통이나 접종 부위의 국소적인 증상은 3일 정도 지속되며 대부분 1주 이내 호전됩니다.

    접종 전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은 새로운 가이드라인에서는 권장하지 않으며 증상이 생기면 드시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발열이나 근육통과 같은 증상은 접종 후 2~3일 동안 심하고 점차 호전됩니다.

    이 기간에는 가급적 무리한 신체활동을 삼가시고 접종 부위 통증이 있다면 얼음찜질을 하며 접종 부위 팔의 사용을 줄이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도 도움이 됩니다)

    아울러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접종 후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1) 접종부위 부기, 통증, 발적이 48시간 이후에도 악화되는 경우

    2)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4주 이내에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다리의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3)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심한 또는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4)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5)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항체생성에 제한을 줄 수 있어 접종 전후 2주간은 다른 예방접종은 피하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백신 접종을 하더라도 100% 감염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최근 발표된 국내 접종효과 분석에 따르면, 1분기 전체 접종대상자에서 확인된 백신효과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85.9%, 화이자 백신이 91.7% 였고, 백신 1회 접종 후 14일이 경과한 시점에 확인한 백신효과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92.2%, 화이자 백신이 100% 였습니다. (대상자별 접종 후 관찰 기간 차이를 보정하지 않은 결과)

    최근 영국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또는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2만명 이상을 대상로 진행한 대규모 임상연구에 따르면 백신 1회 접종 21일 후 감염에 대한 백신 효과는 최소 70%였으며, 2회 접종 7일 후에는 효과가 85%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8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1차 접종 28일 후 백신 효과는 57%였고, 백신의 보호 효과는 2차 접종 7일 후 88%로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예비분석 결과로 각 접종별 예방효과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여러 번 접종을 시행하는 백신의 경우 1차 접종 만으로도 일정 비율 이상 항체가 생기지만 항체가 면역반응을 나타내기에 부족한 정도이거나 지속기간이 짧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차 혹은 그 이후의 접종은 부스터의 개념으로 항체를 보다 충분히 하고 지속기간을 길게 유지하기 위해 접종합니다. 따라서 백신접종은 예방효과와 지속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권장된 횟수와 간격을 지켜 접종하시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 후 항체 생성까지는 약 2주간의 시간이 필요하며, 백신 접종 이후에도 집단면역 형성 전까지는 지금처럼 생활방역수칙을 지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바이러스벡터 전달 방식의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코로나19 백신은 매우 드문 확률(약10만명 분의 1)로
    혈소판감소성 혈전증과의 연관성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에 대해
    아래와 같은 증상이 동반되면 의료진의 진료가
    필요하다고 안내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https://ncv.kdca.go.kr/menu.es?mid=a10118060000

    안전한 접종과 건강을 기원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괜찮습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십시오.

    접종 전에 진료시 상담 받으시면 불안한 마음이 가실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발열/통증 있을 시 약을 드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혈전이란 혈관내에서 피딱지가 생기는 현상으로 이 피딱지가 혈관을 돌아다니다가 특정부위를 막게 되면 혈액이 통과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해당장기의 기능에 이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코로나 백신을 맞고 혈전이 생길수 있는 극히 드문 부작용이 보고 되고 있지만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보다 코로나 감염으로 생기는 후유증등을 예방하는 확률이 월등하게 높기 때문에 접종을 하는것을 권유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혈전은 혈관 속에 피가 굳어진채 덩어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혈전증이 발생한 장기의 위치 및 발생한 혈관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동맥에 혈전증이 발생한 경우 신체 조직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여 말초 혈류가 부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허혈 증상이 주를 이루고, 정맥에 혈전증이 발생한 경우 혈액이 말초에까지는 도달하였으나 심장으로 되돌아오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울혈 혹은 충혈 증상이 주를 이룬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이번 코로나백신과 연관된 혈전증은, 일반적인 혈전증이 아닌, 혈소판감소가 동반된 특이부위 혈전증 입니다.

    주로, 뇌정맥동과 내장정맥에 생기게 됩니다.

    이의 증상으로는, 심하고 지속적인 두통, 시야흐림, 복시, 심한 복통, 호흡곤란, 심한 가슴통증, 접종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의 멍이나 출혈, 전신 부종 등이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생기면 바로 병원으로 내원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바이러스 벡터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 백신을 접종하고 나면 생길 수 있는 드문 부작용입니다. 일반적인 혈전의 생성과는 다르게 면역 반응으로 인한 항체가 생겨서 혈소판이 떨어지고, 혈전이 생기는 질환이지요. 보통 진통제를 복용해도 지속되는 두통, 주사 부위가 아닌 곳의 멍, 호흡곤란 등이 유발되면 혈전의 가능성을 고려해 봐야 합니다. 당연히 바로 병원에 가보시는 것이 좋구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영기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접종 후 한달이내에

    호흡곤란, 흉통, 복통, 붓기가 생기거나

    접종 부위 외의 다른 부위에 심한 출혈증상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이 있다면 의심해 볼 수 있겠습니다.

    희귀혈전증의 경우 헤파린 항체가 생성되며 혈소판이 감소하게 되고 혈전과 함께 출혈성 질환이 생기기에 아스피린은 효과가 적고 혈전 발생시에는 빠른 항응고제 치료가 도움이 되겠습니다만 이는 임상 진찰이 우선적으로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영민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혈전이란 쉽게 말씀드려서 혈관에 생긴 피떡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복잡한 기전을 통해 혈관에 혈전이 생기면 혈관을 돌아다니다가 좁아져 있는 혈관 등에 혈전이 가서 막아 해당부위에 증상을 나타내게 되는데, 만일 머리쪽에 있는 혈관에 혈전이 생기면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과 팔다리의 힘이 빠지는 증상등이 나타날 수 있고 폐정맥이 있는 혈관에 가서 막으면 숨이 찬 증상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응급한 경우이므로 바로 응급실로 오셔야 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혈전이 나타나는 빈도는 극히 낮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크게 걱정을 하실 필요는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럽의약품청에서 고지한 혈전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슴 통증 ▲숨참 ▲지속적인 복통 ▲지속적인 두통 ▲다리 부종 ▲시력 저하 등의 신경 증상

    백신접종후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에 가셔야 합니다.

    혈전부작용은 25만명당 한건정도로 흔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