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비비빙
비비빙

(제주도)탐라의 시조는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백제 신라 고구려처럼 제주도에도 왕국이 있었나요? 있어다면 시조는 누구이고 언제 멸망했는지 제주도 왕국에대한 역사가 궁금합니다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금으로부터 4,300여년 전 제주도의 개벽시조인 삼을나 삼신인(고을나, 양을나, 부을나)이 이곳에서 동시에 태어난 곳입니다.

      고을나는 제주 고씨의 시조이며, 양씨, 부씨가 그들의 후손인 것입니다.

      탐라국의 삼신인은 수렵생활을 하다가 우마와 오곡의 종자를 가지고 온 벽랑국 삼공주를 맞이하면서 결혼하고 농경생활이 시작됐으며 이후 탐라왕국으로 발전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삼성신화와 세공주 삼성신화(설화)는

      탐라의 개국시조 신화다. 고(高), 량(良), 부(夫) 세 신인의 탄생과 세 공주의

      출현은 탐라사회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설명해주는 유일한 문헌기록인 셈이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삼국시대 신라 · 고후 형제가 원래 복속하였던 · 강진군의 옛 지명인 '탐진'의 탐(둥그렇다는 뜻으로 추정된다)과 '라'를 합쳐서 붙여준 것이란 설이 있다. · 문주왕 때 이미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사》 지리지에 의하면 제주도 3성(姓) 시조신의 하나인 고을나(高乙那)의 15세손 고후(高厚)·고청(高淸)과 그 아우 등 3형제가 배를 만들어 타고 바다를 건너 탐진(耽津)에 이르렀는데, 이 때는 신라 성시(盛時)였다고 합니다. 3형제가 들어와 조공하자 신라왕은 이를 가상히 여겨 맏아들에게는 성주(星主), 둘째에게는 왕자(王子), 막내에게는 도내(都內)라는 작호를 주고 국호를 탐라라고 했다고 합니다. 탐라국(耽羅國, ?~ 1404년), 약칭 탐라(耽羅)는 전근대 제주도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통일신라때까지 한반도의 나라들과 교류를 하고 후삼국 시대에 고려가 분열된 삼국을 통일한 뒤 현으로 복속되었다가, 15세기 초반에 조선의 태종 시기에 완전 병합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