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늘격렬한딸기
늘격렬한딸기

먼 미래에 과학이 더 발전한다면 시간의 밀도도 조절 할 수 있게 될까요?

먼 미래에 과학이 더 발전한다면 시간의 밀도도 조절 할 수 있게 될까요?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문명에서 발전이 크게 된다면 가능하다고 보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현재 과학적으로 시간의 흐름은 중력이나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시간 팽창' 현상이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박정철5975님께서 궁금해하신 것처럼 특정 공간에서 시간의 밀도를 마음대로 조절하거나 통제하는 것은 현재 과학 기술로는 불가능하며, 구체적인 이론적 기반도 없는 상태입니다.

    문명이 계속 발전하여 과학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나아간다면 시간의 본질에 대해 새로운 발견을 할 가능성도 아주 희박하게나마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의 밀도 조절은 현재로서는 이론 물리학의 영역을 넘어선, 극히 먼 미래의 투기적인 가능성이거나 공상과학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공상영화를 보는듯 먼 미래에 시간의 밀도도 조절할 수 있는 과학발전이 이루어 질꺼라 생각합니다.

    파레토 법칙의 80대 20법칙은 전체 성과의 80%는 전체 투입 시간의 20%에서 나온다는 원리로 20%의 특별한 밀도가 우리의 시간관리에 적용하는 핵심입니다.

    하지만 시간의 밀도는 개인에 따라 다릅니다. 같은 1시간이라해도 얼마나 많은 일로 의미와 가치를 담아 보내느냐에 따라 차이가 나게 됩니다. 시간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업무나 공부에 집중하고 있는데 누가 방해했을때 시간의 밀도는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는 시간을 허투로 쓰지말고 시간의 밀도를 의미있고 가치있게 보내는 것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현재의 과학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보여 집니다.

    아 주 먼 미래에도 가능성은 개인적으로는 낮다고 보여집니다.

    시간은 물리학에서 기본적인 차원으로 간주되어 시간은 한 방향으로만 흐르고 있습니다.

    시간 자체를 조절 하는 것은 물리학 법칙이 적용되지 않아야 합니다.

    지속적인 과학 발전은 진행 되지만 시간의 밀도를 조절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여 집니다.

    과학적 근거가 없는 개념이며, 과학 소설이나 판타지와 같은 일이라고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