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행복을 찾아요
행복을 찾아요23.02.17

대한제국이 망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조선말기 고종이 국가의 자주독립을 지키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황제 국가를 선포하면서 수립된 나라라고 하는데

이런 대한제국이 왜 망하게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7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대한제국은

    순종의 즉위와 함께 멸망하게 되었습니다.

    1905년 일본은 러일전쟁을 승리한 후 을사조약(1905년 11월 17일)을 맺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했다. 미국과 영국은 가쓰라-태프트 밀약과 영일동맹을 통해 역시 일본의 한반도 지배를 인정해주었다.

    고종황제는 독일 제국 황제 빌헬름 2세에게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호소하였고 빌헬름 2세는 "한국의 황제께(Kaiser von Korea)"라고 쓴 답장까지 써주면서 관심을 표명했으며, 황제의 내탕금 백만 냥(500억 상당)을 독일 은행에 입금까지 시켜주었지만 결과적으로 국제정세 하에서 독일 황제가 직접적으로 힘을 쓰지는 못하게 되었다.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면 독일이 싫어하는 영국과 그 동맹인 일본을 견제할 좋은 찬스로서 독일이 한국에 적극 개입했을지도 모르나 결과적으로 안됐다.

    이에 고종은 일본의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보내게 되지만 이미 눈치를 챈 일본이 손을 써서 특사들이 회의장에 들어가는 데 실패했다. 이 사건에 분노한 일본은 이를 빌미로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순종을 옹립했다.

    1907년 7월 19일. 순종이 새 황제로 즉위하자 일본은 정미7조약, 기유각서 등의 조약으로 군대를 해산하고 사법권, 경찰권 등의 국가 권력을 하나 둘 빼앗아 대한제국은 허울 뿐인 제국이 되었다. 결국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어 대한제국 황실은 이왕가라는 이름의 일본 귀족으로 편입되고, 연호 또한 융희 4년에서 메이지 43년으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대한제국은 공식적으로 멸망하여 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된다.

    출처: 나무위키 대한제국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제국이 망한것은

    쇄국정책과 부정부패한 관리들 , 주변국가들의 탑욕이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유와 독립의 정신을 알지 못하여 나라가 망했다는 것으로 여겨 집니다. 조선 왕조를 망친 주범을 꼽자면 누가 뭐래도 고종과 흥선 대원군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는 왕조를 자신의 가업으로 간주한 어리석고 탐욕 스런 임금이었으며 스스로 결정할 능력이 없어 민비의 치마 폭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기록 되어 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국주의 시대의 희생양이라고 시대적 흐름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부터 아시아까지 서구제국주의 국가의 식민지를 면한 나라는 손에 꼽을 정도죠. 일본은 근대화에 성공해 제국주의 국가로 변한 최초의 비아시아 국가입니다. 중국 청나라는 반식민지 상태가 되었죠. 중국은 어느 한 나라가 식민지로 삼기엔 너무나 컸고 서구열강들이 균점 즉 나눠먹기로 합의했습니다.

    자주독립과 황제의 나라로 선포한 대한제국이지만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후 일본은 한반도를 식민지로 삼기 위한 작업을 해왔습니다. 유일한 장애물이 러시아였는데 영일동맹을 맺고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더이상 장애가 될 것이 없었죠. 러일전쟁 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빼앗고 1910년 국권을 침탁할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