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Insam
Insam

미국 종목 중에 특별배당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어 특별 배당을 5$ 정도 한다고 하면, 배당을 받자마자 기업의 주가가 5$ 빠진 상태로 나타나게 되는데요. 배당 현지 수수료 15%가 빠지고 나면

오히려 손해가 아닌가요? 보통 주주환원이나 이익을 크게 보았을 때 특별 배당을 하던데, 오히려 주주기만인게 아닌가 해서 여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종목 중에서 특별배당을 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특별배당은 말 그대로 기업에 특별하게 높은 매출이 있고 수익이 나온 경우에

    실시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에서 기업들이 특별배당을 실시하는 이유는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가장 주된 이유는 기업이 일시적으로 상당한 현금 보유고를 갖게 되었을 때, 이를 주주들에게 환원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기업의 자본 효율성을 높이고, 주주 가치를 제고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투자할 만한 새로운 사업이나 프로젝트가 당장 없는 상황에서 과도한 현금 보유는 오히려 기업의 자산 운용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또한, 특별배당은 기업의 재무 상태가 건전하다는 것을 시장에 알리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예상치 못한 큰 이익이 발생했거나, 자산 매각 등을 통해 일회성 수익이 발생했을 때, 이를 주주들과 공유함으로써 기업의 긍정적인 상황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입니다.

    배당락일에 주가가 배당금만큼 하락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회사가 주주에게 현금을 지급했으므로, 그만큼 회사의 순자산이 감소하게 되고, 이는 주가에 반영되는 것입니다. 마치 주머니에서 돈을 꺼내 다른 주머니에 넣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세금이 부과되어 실제로 받는 금액이 줄어드는 것은 아쉬운 부분일 수 있지만, 이는 배당이라는 행위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각 국가의 세법에 따른 결과입니다.

    일부 투자자들은 주가 하락과 세금 때문에 특별배당이 손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기업이 이익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것은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만약 기업이 쌓인 현금을 배당 없이 계속 보유한다면, 그 가치는 주가에 녹아들어 있을 뿐, 주주가 직접적인 이익을 얻기는 어렵습니다. 특별배당을 통해 주주는 현금을 확보하고, 이를 재투자하거나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갖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미국 기업의 특별배당은 주주 환원 정책의 일환이며,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배당락일의 주가 하락과 세금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특별배당 자체가 주주에게 불리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기업이 주주 이익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긍정적인 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론 특별배당을 받는 종목이 더 크게 하락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특별배당을 받는 주식은 배당을 받고 가치가 하락하긴 하지만, 결국 다시 주가가 회복하기에 손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