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은 어떻게 분류를 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식물은 보통 잘 발달된 조직을 가지고, 햇빛을 이용하여 영양분을 합성할수 있는 다세포 생물을 말하잖아요~ 그럼 이런 식물은 어떻게 분류를 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식물>이란 세포벽이 있고 엽록소가 있어서 독립영양으로 광합성을 하는 생물을 말하는데요, 현재 지구상에는 35만여 종의 식물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대략 조류(algae) 3만여 종, 선태식물 2만 2500여 종, 양치식물 1만 500여 종, 겉씨식물 800여 종, 속씨식물 25만여 종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물은 주요하게 비관속식물과 관속식물로 분류됩니다. 비관속식물에는 선태식물과 같은 이끼류가 포함되고, 관속식물은 다시 양치식물, 겉씨식물, 속씨식물로 나뉩니다. 양치식물은 고사리와 같은 식물이 있으며, 겉씨식물은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가 있고, 속씨식물은 꽃을 피우는 식물로 가장 다양합니다.
식물은 다양한 형태와 특징을 가지고 있어 분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크게 몇 가지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관다발 유무에 따른 분류
무관속 식물 : 관다발이 없어 몸 전체에 물과 양분을 운반하는 조직이 발달하지 못한 식물입니다. 주로 습한 곳에서 자라는 이끼류가 여기에 속합니다.
관속 식물 : 관다발이 있어 몸 전체에 물과 양분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식물입니다. 대부분의 육상 식물이 여기에 속하며, 고사리류, 겉씨식물, 속씨식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 종자 유무에 따른 분류
포자식물 : 씨앗 대신 포자로 번식하는 식물입니다. 고사리류가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종자식물 : 씨앗으로 번식하는 식물입니다.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겉씨식물 : 씨방이 없어 씨앗이 겉으로 드러나 있는 식물입니다. 소나무, 은행나무 등이 대표적입니다.
속씨식물 : 씨방이 있어 씨앗이 씨방 안에 들어 있는 식물입니다. 대부분의 꽃피는 식물이 여기에 속합니다.
3. 꽃의 유무에 따른 분류
꽃이 피는 식물 : 속씨식물처럼 꽃이 피는 식물입니다.
꽃이 피지 않는 식물 : 고사리류, 이끼류처럼 꽃이 피지 않는 식물입니다.
4. 기타 분류 기준
생활 형태 : 한해살이풀, 두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서식 환경 : 습지식물, 사막식물, 암석지대 식물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생김새 : 잎의 모양, 줄기의 형태, 뿌리의 종류 등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분류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분류입니다. 그래서 또 다른 방법으로 분류를 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식물계는 식물들을 포함하는 분류군입니다. 식물은 세포벽을 가지고 있고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물은 주로 광합성을 통해 자신의 영양을 합성하며, 이를 위해 엽록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식물은 세포벽을 가지고 있고, 산소를 방출하는 특징도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식물은 식물계에 속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