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5.05

조선 세종 때 장영실의 출신 성분은 무엇이었습니까

조선 세종 때 조선의 과학 발달에 크게 기여한 장영실은 과학적으로 이름을 높였는데요 이런 장영실이 신분이 천민 이었다는 이야기가 있더라고요 장영실의 출신성분을 무엇이었습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의 아버지가 관노가 아니었음에도 장영실이 관노가 된 것은 모친의 신분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조선시대 관기들은 신분상 천민에 해당합니다. 조선시대 엄격한 신분제도에 따라 관기가 딸을 낳으면 어머니를 따라 관기가 되었고, 아들은 관노가 되었습니다. 이후 세종의 총애를 받아 정5품 상의원 별좌가 되면서 관노의 신분을 벗었고 궁정기술자로 활약하게 된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은 그 아비가 본래 원나라의 소주·항주 사람이고 어미는 기생이었는데, 공교한 솜씨가 보통 사람에 뛰어나므로 태종께서 보호하시었고, 나도 역시 이를 아낀다.” ([세종실록] 세종 15년 9월 16일)


    장영실의 아버지가 관노가 아니었음에도 장영실이 관노가 된 것은 모친의 신분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조선시대 관기들은 신분상 천민에 해당합니다. 조선시대 엄격한 신분제도에 따라 관기가 딸을 낳으면 어머니를 따라 관기가 되었고, 아들은 관노가 되었습니다. 이후 세종의 총애를 받아 정5품 상의원 별좌가 되면서 관노의 신분을 벗었고 궁정기술자로 활약하게 된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은 천인이였습니다.

    자료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

    장영실이 어린 시절에 어떤 성장 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서 1421년(세종 3) 세종이 장영실을 불러 선기옥형(璇璣玉衡) 제도를 연구하게 했을 당시 장영실의 신분을 ‘동래(東萊)의 관노(官奴)’를 기록한 것을 볼 때, 그의 본래 신분이 관노, 즉 천인(賤人)이었음을 알 수 있다.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n310300&code=kc_age_30


  •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은 관노의 아들로 태어난 노비 출신 이라고 합니다

    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장영실의 어머니는 동래부 관기였고, 장영실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중국 소주, 항주 지방 출신의 원나라 사람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은 동래현의 관노(천민)로 있다가 뛰어난 재능을 인정 받아서 조정에 발탁된 사례입니다. 장영실의 아버지는 중국에서 귀화한 인물이고, 어머니는 기생이었습니다. 장영실이 어린 시절에 어떤 성장 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지만, 본래 신분이 천민이라는 것은 <연려실기술>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어머니의 신분에 따라 관노가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