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확실히여유있는부장
확실히여유있는부장

눈을 감으면 눈물 속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여 pH가 산성으로 바뀌게 되는데 원리가 무엇인가요?

눈을 감게 되면 눈물 속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여 pH가 산성의 범위로 이동하게 되는데 그 이유나 화학식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눈을 감고 눈꺼풀이 눈을 덮으면 눈 표면의 공기 순환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눈물 속에 있던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가지 않고 축적되기 쉽습니다. 눈물 속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이산화탄소가 물(H₂O)과 반응하여 탄을 형성합니다. 탄산(H₂CO₃)은 약산성 물질로, 물속에서 해리하여 수소 이온(H⁺)과 탄산 이온(HCO₃⁻)으로 분해됩니다.

    이 반응을 통해 생긴 수소 이온(H⁺)이 눈물의 pH를 낮춰 산성으로 바뀌게 됩니다. pH는 수소 이온 농도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수소 이온 농도가 높아질수록 pH는 낮아지고, 눈물이 더 산성화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눈을 감으면 눈물 속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여 pH가 산성으로 이동하는 이유는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아 탄산(H2​CO3​)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CO2​+H2​O→H2​CO3​

    탄산은 약산으로, 물에 녹아 수소 이온(H+)을 방출하여 용액의 pH를 낮춥니다. 이로 인해 눈물의 pH가 산성 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