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바이러스는 친유성기 인가요?
세균은 친유성기라고 하는데, 바이러스도 친유성기인가요? 세균과 바이러스의 가장 대표적인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간략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친 유성기인 개체도 있고, 친 수성기인 개체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외부 막이 바이레이어 형태라면 친수성을 띠고, 외부에 유성물질을 분비하여 막을 형성하는 개체라면 친 유성기를 띱니다.
바이러스는 증식을 하기 위해서 일반 세포의 표면에 안착하여 침투를 해야하므로, 친유성기/친수성기 구분이 아닌, 침투할 세포 표면에 있는 특이적 결합을 하는것을 목표로 합니다.
감사합니다.바이러스는 단백질 껍질이 전부라 세포라고 하지 않고, 숙주가 있어야 생존/증식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가운데에 정의되고 있습니다.
세균은 단세포 생물체로 스스로 살아가고 번식이 가능합니다.
바이러스의 보호막이 지방질과 같은 기름으로 되어있으므로 친유성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기름으로 둘러쌓인 보호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친유성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균 : 세포막, 세포질, 세포벽 등으로 구성되며, 자체적으로 증식이 가능합니다.
바이러스 : DNA, RNA가 단백질에 의해 둘러 쌓여있으며, 자체적으로 증식이 불가하고 숙주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