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상냥한메뚜기254
상냥한메뚜기254

바이러스는 친유성기 인가요?

세균은 친유성기라고 하는데, 바이러스도 친유성기인가요? 세균과 바이러스의 가장 대표적인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간략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친 유성기인 개체도 있고, 친 수성기인 개체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외부 막이 바이레이어 형태라면 친수성을 띠고, 외부에 유성물질을 분비하여 막을 형성하는 개체라면 친 유성기를 띱니다.

      바이러스는 증식을 하기 위해서 일반 세포의 표면에 안착하여 침투를 해야하므로, 친유성기/친수성기 구분이 아닌, 침투할 세포 표면에 있는 특이적 결합을 하는것을 목표로 합니다.

      감사합니다.

    • 바이러스는 단백질 껍질이 전부라 세포라고 하지 않고, 숙주가 있어야 생존/증식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가운데에 정의되고 있습니다.

      세균은 단세포 생물체로 스스로 살아가고 번식이 가능합니다.

      바이러스의 보호막이 지방질과 같은 기름으로 되어있으므로 친유성이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기름으로 둘러쌓인 보호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친유성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균 : 세포막, 세포질, 세포벽 등으로 구성되며, 자체적으로 증식이 가능합니다.

      바이러스 : DNA, RNA가 단백질에 의해 둘러 쌓여있으며, 자체적으로 증식이 불가하고 숙주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